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이상헌칼럼]인력의 효율적 관리가 생명



[이상헌칼럼]인력의 효율적 관리가 생명

여전히 많은 창업자들이 성공을 위해 멈추지 않는 도전을 하고 있지만 아이템 선정부터 창업자금마련, 창업하고자 하는 분야에 대한 경험 등 여러가지 만족시켜야 할 사항들이 있다. 그 중 한가지라도 어긋나면 절대 창업에서 성공하기 힘든 게 현실이다.

모든 항목을 만족 시켜 창업을 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시작일뿐 창업 후 성공을 위한 가장 중요한 조건은 바로 '인력의 효율적 관리'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한마디로 종업원에 대한 관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매장의 총 매출과 수익에 커다란 영향을 받고 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매장운영이 아무리 산업화되고 시스템화, 매뉴얼화 된다 해도 사람이 해야만 하는 일이 따로 있다는 것을 염두해 두어야 하며, 설령 기술의 발달로 로봇이 음식을 대신 만들고 서비스를 하는 시대가 올 수 있지만 사람의 마음과 감정까지 대신할 수는 없기 때문에 창업분야에서 인력관리가 중요한 것도 이러한 이유다. 특히 지금과 같은 구인이 어려운 시기에 인력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는 시기다.

그러나 많은 자영업자들이 인력관리를 잘 해야 하는 사실은 알지만 과연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채 당장 눈앞의 이익만을 생각해 비용 줄이기에만 주력하거나 혹은 남들이 하는 방법을 무조건 따라하는 식으로는 성공할 수 없다.

물론 매장에 있어서 종업원 관리에는 정답이 없다.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방법론은 있지만 그 방법이 모든 업체에 적용 될 수도 없다. 효율적인 인력관리는 현재 우리 업체의 상황을 냉정히 판단하고 향후 계획을 설정한 후 그에 맞는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제품이나, 맛, 가격, 분위기 등이 창업 성패의 중요 요인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그 보다 우선하는 것이 사람에 대한 신뢰라 할 수 있다. 결국 사람을 통해서 제품을 권유하고 설명하고 구매하는 일련의 절차가 수익성의 근본이기 때문이다.

점포 운영 시 인력관리에 드는 비용은 인건비와 각종 복리후생비로 구분된다. 보통의 매장운영자들은 경기불황 시 인력감축, 급여삭감, 근무시간 단축, 각종 복리후생비의 중단 및 삭감 등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려 한다. 비용 절감 시에는 무조건 절감이 아닌 꼭 필요한 항목과 줄이거나 중단해도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항목은 일정기간 없애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직원들과의 현 상황에 대한 공유다. 무조건 줄이거나 없앤 후 통보를 하기보다는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한 설명과 함께 직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득해야 한다. 직원들이 납득할 수 없는 당장의 수치적인 효과만을 위한 절감 방법은 오히려 우수 인력의 유출, 근무의욕 상실, 생산성 저하 등의 역효과를 낼 수 있다, 이는 사업경기가 회복됐을 때 인력 및 인재 부족으로 인해 성장이 아닌 퇴보라는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부담이 존재하겠지만 인건비 절감은 사업운영의 어려움을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한 수단이지, 절감 자체가 목적이 될 수 없다. 오히려 근무시간과 형태의 변화를 통해 효율적인 인력의 재편효과를 얻는 방법을 권하고 싶다. 업종에 따라 편차가 있지만 핵심 매장운영시간과 사전준비시간을 1.2.3조로 근무시간을 차등 적용해 전반적 근무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이다. 즉 준비조, 운영조, 마감조로 근무시간을 조율하는 상생전략이 필요하다.

한국창업경영연구소 이상헌소장 (컨설팅학 박사)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