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석유화학/에너지

[LG-SK 분쟁] ②정부도 중재 나선 이유…소송비용·인력쟁탈전에 미래 동력 꺼뜨리나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왼쪽)과 김준 SK이노베이션 총괄 사장은 16일 산업통상자원부 주재로 만남을 가졌다. /각사 제공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 갈등이 두 그룹간의 갈등 및 소송 전면전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재계와 정부에까지 퍼지고 있다. 내부 갈등을 틈타 중국 등 경쟁사가 틈새를 파고드는 상황도 문제로 지적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자원통상부는 이날 신학철 LG화학 부회장과 김준 SK이노베이션 총괄 사장간 회동을 주선했다.

정부가 사기업간 갈등에 개입하면 안된다는 비판을 의식한 듯 정부 관계자가 동석하지는 않았지만, 양사가 분쟁을 끝낼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하겠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뿐 아니라 정부도 양사 분쟁 장기화에 긴장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차전지가 반도체에 이은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만큼, 국가 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가 팽배하다.

가장 가시적인 손해는 소송 비용이다. 업계는 양사가 소송 비용으로 매달 각각 50억원씩을 로펌 등에 지급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비슷한 기업간 소송이 최종 판결까지 3년여 걸린다고 가정하면 각각 2000억원 가까운 돈을 해외 로펌 등에 사용하는 셈이다.

이는 SK이노베이션의 연간 R&D 비용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LG화학의 연간 R&D 투자 비용인 1조원과 비교해도 20%에 달한다.

R&D 비용이 모두 이차전지에만 쓰이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체감 피해는 훨씬 클 전망이다.

뿐만 아니다. 글로벌 이차전지 업계가 최근 인력 쟁탈전을 시작하면서 양사가 인력 유출 시도에 속수 무책으로 당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히 중국이 국내 인재에 가장 적극적인 러브콜을 보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2017년부터 중국 비야디가 공개적으로 파격적인 조건을 내걸고 한국 배터리 인력 채용 공고를 낸 데 이어, 중국 헝다신에너지차도 최근 한국을 포함한 9개 국가 근무를 조건으로 8000여명 채용을 발표했다.

구체적인 채용 조건은 숨겨놨지만, 국내 업체보다 2~3배 높은 연봉과 파격적인 복지를 내건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지난 7월에는 중국 CATL이 헤드헌터를 통해 기존 연봉의 3배를 제시하며 이직을 제시했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중국뿐이 아니다. 폭스바겐과 배터리 합작사를 설립키로 한 스웨덴 노스볼트도 최근 30여명 이상의 한국인과 일본인 기술자를 영입했음을 공식화했다. LG화학과 일본 파나소닉 등에서 자리를 옮겼다.

그럼에도 국내 업계는 해외 경쟁사 수준의 대우를 제시하기는 힘든 상황이다. 아직 이차전지 사업에서 수익을 내지 못하는 탓에 비판을 받을 소지가 커서다. 여기에 막대한 소송비용까지 감당하면 인재 유출은 더욱 가속화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단, LG화학은 이번 소송을 통해 이차전지 업계에 건전한 경쟁 구도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기술 유출에 경각심을 퍼뜨려야 해외 경쟁사들의 악용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는 논리다. 같은 이유로 '국익 훼손' 프레임도 경계했다.

그러면서도 대화로 해결할 수 있다는 여지는 남겨놓은 상태다. 앞서 사과와 재발 방지 대책을 내놓으면 대화로 풀 수 있다며 공공연히 밝혀온 바, 이날 회동 후에도 산업부에 감사를 표하며 진정성 있는 대화를 나눴다고 소개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