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3분기 가계빚 1573조원 '사상 최대'…증가율 소폭 둔화



올해 3분기 우리나라 가계빚이 1572조원을 넘어서며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아파트 매매거래가 증가하고 전세대출 수요가 컸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15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19년 3분기 중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가계빚이 1572조7000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가계신용은 가계부채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로 금융회사에서 빌린 대출(가계대출)과 신용카드 등의 사용 금액(판매신용)을 더한 것이다.

증가세는 둔화됐다. 3분기 가계신용은 전년 동기 대비 3.9%(58조8000억원) 증가했다. 이는 지난 2016년 4분기(11.6%) 이후 11분기 연속 둔화세로 2004년 2분기(2.7%) 이후 15년 3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증가폭도 축소됐다. 3분기 가계신용 증가규모는 15조9000억원(1.0%)으로 지난 2분기(16조8000억원·1.1%), 지난해 3분기(21조5000억원·1.4%)에 비해 모두 줄었다.

다만 가계신용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2분기 기준 한국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86.1%다. 지난해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9개국 평균인 130.6%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가계신용 증가 속도는 둔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소득 증가 속도보다 빠르다는 의미다.

2분기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동기 대비 1.3% 늘어 2분기(4.3%)·3분기(3.9%) 가계신용 증가율에 크게 못 미쳤다. 2분기 기준 순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은 2.7%에 그쳤다.

한은 관계자는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완화하고는 있지만 2012년 이후 급속도로 늘어난 여파로 부채의 수준은 상당히 높아져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가계신용 추이. /한국은행



가계신용이 증가한 것은 예금은행을 중심으로 주택담보대출, 기타대출 증가폭이 확대돼 가계대출이 늘어난 영향이 컸다.

가계신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계대출은 1년 전보다 54조3000억원(3.8%) 증가한 1481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주담대과 기타대출은 전분기보다 각각 9조5000억원, 4조원 증가했다.

특히 한은은 이날 처음으로 전체 주담대 규모를 집계해 발표했다. 그동안 통계에서 빠져있었던 보험사, 여신전문회사(캐피탈) 등의 주담대 통계를 이번 분기부터 확보해 포함했다.

한은에 따르면 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 총잔액은 3분기 말 현재 830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통계작성이 시작된 2007년(343조8000억원) 대비 2.4배 증가한 수치다.

한은 관계자는 "아파트 입주물량이 줄고는 있지만 아직 상당한 수준으로 지속되고 있는 데다 전세자금대출 수요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라며 "여기에 아파트 매매량에 따른 실제 구입 자금이 더해지며 주담대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계대출은 주로 예금은행에서 일어났다. 2분기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50조7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8조7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저축은행, 협동조합, 상호금융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은 315조8000억원으로 1조9000억원 감소했고, 기타금융기관도 415조1000억원으로 3조2000억원 줄었다. 고신용자를 중심으로 비은행과 기타금융기관에서 은행으로 대출을 전환하는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3분기 판매신용 잔액은 91조1000억원으로 카드사 등 여신전문기관을 중심으로 2조4000억원 증가했다. 9월 추석연휴 등 계절적 요인으로 카드 사용액이 늘어난 영향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