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되살아난 서울] (58) 서울에 심어진 평화의 씨앗 '청계천 베를린광장'

지난 9일 베를린장벽을 보기 위해 '청계천 베를린광장'을 찾았다./ 김현정 기자



1961년 8월 13일 단잠에서 깬 베를린 시민들은 도시를 동·서로 가르는 철조망을 보고 경악을 금치 못했다. 동독 정부는 서베를린으로 탈출하려는 사람들을 막기 위해 전류가 흐르는 45km 길이의 철책을 밤새 설치했다. 예고 없이 찾아온 냉전의 산물은 독일 분단의 역사를 열었다.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한 독일은 미국·영국·프랑스·소련 4개국이 분할 점령했다. 4년 뒤인 1949년 소련과 미국에 의해 사회주의 동독과 자본주의 서독으로 나뉘었다. 정치적 자유와 경제적 번영을 염원하는 동독인들이 서독으로 넘어가자 위기감을 느낀 동독 정권은 베를린 한가운데 철조망을 만들었다. 철책은 나중에 높이 3.6m, 길이 155km의 거대한 장벽으로 바뀌었다. 콘크리트 200만t과 강철 70만t을 쏟아부어 만든 장벽을 두고 동독에서는 '반파시즘 방어벽'으로, 서독에서는 '수치의 벽'이라고 불렀다. 베를린 장벽은 소련의 공산주의 체제가 무너지고 독일 통일이 추진되면서 1989년 철거됐다.

독일 베를린시는 2005년 청계천 복원 시기에 맞춰 마르쨘 휴양공원 안에 전시해왔던 장벽 일부와 함께 광장을 만들어 서울시에 기증했다.

◆냉전의 산물에서 평화의 상징으로

9일 한 시민이 청계천 베를린광장에 설치된 베를린장벽을 유심히 살펴보고 있다./ 김현정 기자



지난 9일 오후 서울 중구 장교동 삼일교 앞에 위치한 '청계천 베를린광장'을 찾았다. 지하철 2호선 을지로3가역 1번 출구로 나와 청계천 쪽으로 약 4분을 걸었다. 먹구름 낀 하늘처럼 우중충한 색을 띤 콘크리트 장벽 3개가 눈에 들어왔다. 광장이라고 해서 푸른 잔디가 심어진 시청 앞 서울광장을 기대하고 간 사람들은 실망할 수 있다. 광장 규모가 30여평 남짓으로 아담하기 때문이다.

광장에는 베를린시에서 가져온 콘크리트 장벽 3개와 베를린시의 상징물인 '곰'상, 100여년 전에 만들어진 독일 전통의 가로등과 벤치 등이 설치됐다.

이날 베를린광장에서 만난 직장인 박정철(35) 씨는 "여기 있는 콘크리트 덩어리들을 지나가다가 몇 번 보긴 했는데 베를린시에서 직접 가져온 베를린장벽일 것이라는 생각은 꿈에도 하지 못했다"며 "그 먼 곳에서 어떻게 저 무거운 걸 가져왔는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베를린장벽은 2005년 9월 6일 부산항에 도착했다. 높이 3.5m, 폭 1.2m, 두께 40cm 규모의 베를린장벽 3개는 L자형(바닥 길이 1.8m)으로 만들어졌다. 당시 사람의 접근이 가능했던 서독쪽 방향 벽면에는 가족을 그리워하거나 통일을 염원하는 시민들의 글귀와 낙서가 쓰여 있었다. 반면 완충지대가 조성돼 사람들이 접근하지 못했던 동독쪽은 깨끗한 벽면으로 남았다.

시는 "L자형으로 꺾어진 장벽의 형태 또한 동독쪽에서 차량으로 충격해 탈주하지 못하게 턱 역할을 하도록 만들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9일 한 시민이 청계천 베를린광장에 설치된 '곰' 조형물 옆을 지나가고 있다./ 김현정 기자



장벽 옆엔 베를린의 상징 동물인 '곰' 조형물이 설치됐다. 파란색 '곰'상의 몸통 왼편에는 남대문과 꽃다발을 든 사람들의 모습이 그려졌고 오른편에는 브란덴부르크문이 새겨졌다. 베를린 시민과 서울 시민의 모습이 함께 화합하는 형태라고 시는 덧붙였다.

베를린시의 상징인 '곰'상 조형물에 누군가 '진수'라고 낙서를 해놨다./ 김현정 기자



대학생 김소희(23) 씨는 "누가 곰 머리에 칼 같은 걸로 낙서를 해놓고 근처에 담배꽁초가 많이 버려져 있다"면서 "서울을 찾은 독일 관광객들이 이 모습을 보면 한심하게 생각할 것 같다"며 눈살을 찌푸렸다.

광장 한켠에는 클라우스 보베라이트 당시 베를린 시장의 명패석이 설치됐다. 명패석에는 "베를린시는 서울시를 위해 베를린 장벽 일부를 원형 그대로 이곳에 옮겨와 베를린 광장을 조성했다. 장벽은 독일 분단의 평화로운 극복과 한반도의 평화통일에 대한 희망을 상징한다"는 문안이 적혔다.

◆문화재 훼손 vs 표현의 자유

훼손 전 베를린장벽 모습./ 서울시



지난해 모두의 기억 속에서 잊혀져 갔던 베를린광장을 사람들의 뇌리에 각인시킨 사건이 벌어졌다. 아티스트 정모(29) 씨는 작년 6월 청계천 베를린장벽에 스프레이로 그라피티(Graffiti·낙서처럼 그리는 거리예술) 작업을 한 뒤 자신의 SNS에 올렸다.

훼손 당시 베를린장벽 모습./ 서울시



서울시는 베를린장벽을 훼손한 그라피티 아티스트를 상대로 3000만원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올해 9월 서울 청계천에 설치된 독일 베를린 장벽 조각 위에 스프레이로 그림을 그린 예술가가 서울시에 1500만원을 배상해야 한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다.

지난해 11월 복원된 베를린장벽 모습./ 서울시



법원은 ▲정씨가 손상한 범위와 면적이 상당한 점 ▲5개월 이상 일반 공중에 전시되지 못한 점 ▲복구작업을 해도 사실상 완전한 원형 복구가 불가능해진 점 ▲복구작업에 실제 비용이 지출된 점 ▲정씨에게 형사사건에서 벌금 500만원이 선고된 점 ▲서울시의 관리 소홀도 있었던 점 등을 종합해 손해액을 1500만원으로 산정했다.

시는 사건 발생 후 복구 방안 관련 전문가 현장점검(2회)을 실시했다. 이후 시비 900만원을 들여 지난해 11월 19일 베를린장벽 복구를 마쳤다.

한편 지난 4월 22일 열린 '표현의 자유 해외 전문가 초청 기자간담회'에서 안드라 마테이 전 유럽인권재판소 변호사는 "국제법상 표현의 자유를 처벌할 수 있을 때는 혐오를 선동하는 경우인데 정 작가의 작품은 폭력 요소나 혐오 선동 요소는 전혀 없었다"며 "오히려 평화를 상징하고 한반도의 통일을 염원하는 메시지를 담았다"고 말했다.

마테이 변호사는 이어 "해당 사건이 형사 처분을 수반할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사람들에게 사회적, 정치적 이슈를 불러일으키고 사회적 담론을 일으킨 경우 최고 수준에서 표현의 자유가 보장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