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트럼프의 칼날 (下)] K-산업 승부처는?...美 현지 투자로 돌파구 찾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1일(현지 시간) 부인 멜라니아 여사와 함께 워싱턴 국립대성당에서 열린 국가 기도회에 참석해 기도하고 있다. / 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강력한 보호무역주의를 내세운 가운데, 우리 기업들은 미국 현지 투자 확대를 통해 고관도 관세정책에 대응하려는 움직임을 띠고 있다.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현지 생산과 공급망 구축에 집중해 위기를 돌파한다는 전략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0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재임에 따라 국내 기업들이 미국 새 행정부 출범에 발맞춰 대응책 마련에 한창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 달부터 멕시코와 캐나다의 모든 제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히며 기존 무역협정 재검토도 지시했다. 중국에는 추가 관세 10%를 부과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가 언급한 10% 추가 관세는 자신의 첫 임기 동안 3000억달러 이상의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한 관세에 추가로 부과되는 것이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 관세를 부과하는 보편관세를 예고하기도 했다. 취임 직후 보편 관세 정책이 아직 준비되지 않은 상태라고 언급하며, 구체적인 시행 시점을 불투명한 상황이나 국내 기업들은 관세 부과 가능성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현지 공장이 없는 기업의 경우 관세 도입으로 인한 가격 경쟁력 약화가 우려된다는 판단에서다.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전경 / 현대제철

◆ "美 생산시설 구축으로 관세 리스크 대비"

 

철강업계는 미국 본토 생산시설 구축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현지 진출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은 쿼터제에 따라 연 268만톤까지 무관세를 적용받고 있다. 현지 생산이 가능하면 관세 부담을 덜고 안정적인 공급망을 갖출 수 있는 만큼 수익성 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현대제철은 미국 제철소 건설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져 주목받고 있다. 현대제철은 미국 현지에 자동차 강판 제품 등을 생산하며 현대자동차그룹의 미국 현지 공장에 공급하겠다는 방침이다. 현대차그룹은 인근에 조지아주 기아차 공장, 앨라배마주 현대차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조지아주 서배너 지역에는 친환경 전기차 전용 공장인 메타플랜트아메릴카(HMGMA)를 건설 중이다.

 

조선업계 또한 미국과 조선·방산 분야 동맹 가능성에 주목하며 현지 투자에 적극적이다. 한화오션·한화시스템은 지난 2024년 12월 약 1억달러를 투자해 미국 필리 조선소의 지분 100% 인수를 마무리했다 국내 기업 중 미국 조선소를 인수한 것은 한화그룹이 처음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24년 11월 당선 직후 윤석열 대통령과 첫 통화에서 "세계적인 한국의 군함 건조 능력을 알고 있다"며 "선박 수출뿐 아니라 유지·보수·정비(MRO) 분야에서 한국과 긴밀하게 협력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전력업계도 미국 시장의 노후화된 전력 인프라 교체 주기에 힘입어 실적 성장세를 이룰 것으로 관측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공지능(AI)에 700조원이 넘는 금액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전력기기 업계가 동반 호황을 누릴 것이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HD현대일렉트릭은 AI 수요 증가·데이터센터 증설에 따른 전력을 대응하기 위해 국내외 초고압 변압기 생산시설에 증설 투자를 단행한다. HD현대일렉트릭은 울산사업장 내 생산공장 신축과 미국 앨라배마 제2공장 건립에 총 3968억원을 투자한다. 회사는 이번 증설 투자를 통해 756kV(킬로볼트)급 초고압 변압기 생산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756kV는 현재 미국에서 취급하는 최대 전압의 사양이다.

 

산업계 관계자는 "국내 기업들은 관세 부과를 피하고 물류비와 유통비 절감을 위해 미국 내 투자를 확대하는 분위기"라며 "미국 내 고용 창출과 투자 확대를 통해 미국의 보호무역주의를 기회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 시장 접근성을 넓히고, 현지 생태계를 적극 활용하는 전략이 미국 새 행정부와의 협력 강화를 위한 핵심 열쇠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