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 사장단이 17일 수요 사장단 회의에서 '기어 VR'로 가상현실을 직접 경험했다. 그룹은 VR 기술을 모든 사업영역으로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삼성
[메트로신문 나원재 기자] 삼성그룹 사장단이 가상현실(VR)을 직접 경험하고, 전사적 대응 전략을 공유했다. 그룹은 VR 기술을 모든 사업영역으로 확대, 적용할 방침이라 계열사 사장들의 향후 행보는 그만큼 중요해졌다.
17일 오전 삼성 서초사옥에서 열린 수요 사장단 회의에서 각사 최고 경영진은 VR 시장의 폭발적인 잠재력에 대해 강의를 들었다.
삼성 내 VR 전문가로 손꼽히는 구윤모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전무는 이날 자리에서 사장단을 대상으로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 '기어 VR'의 기술적인 요소를 설명하고, 시장의 중요성과 전사적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후 사장단은 삼성 '기어 VR'을 일제히 직접 착용하고 롤러코스터를 3D와 360도 전방위 화각으로 경험했다.
구 전무는 "사장단을 대상으로 한 첫 시연회에서 영화, 게임, 스포츠 등의 버츄얼 투어를 했는데, 재밌다는 반응이 나왔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홍원표 삼성SDS 사장은 "가능성이 무궁무진하고, IoT 등에서 적용할 기회가 많겠다"고 말했고, 박중흠 삼성엔지니어링 사장도 "안전교육에 활용하면 좋겠다"고 말하는 등 각사 최고경영자들은 저마다 기대감을 드러냈다는 후문이다.
실제 VR 기술은 자동차와 교육, 의료, 제조 등 활용 범위가 넓다. 가상현실에서 운전 연습을 하고, 수업을 받을 수 있으며, 의료기기 만드는 현장을 바이어나 투자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또, 고소공포증도 낮은 위치부터 조금씩 높이면서 치료하면 된다.
다만, 무게와 사이즈를 줄이고, 화질을 높여 어지럼증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5G로 네트워크 환경도 개선해야 한다.
구 전무는 "사장단 강연에서도 말했지만, 지금은 VR 기술이 초기 단계라 무게와 사이즈를 줄여야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며 "많이 노력했지만, 근본적으로 화질과 네트워크 환경이 좋아져야 한다"고 말했다.
구 전무는 이어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도 VR 시장에서의 성공 요소로, 노력 하겠다"며 "자체 기술력과 함께 파트너 회사와의 협력으로 소비자에게 좋은 제품을 제공할 것이다"고 부연했다.
한편, 삼성그룹은 삼성만의 VR 플랫폼을 구축하고, 전사적 사업 부문으로 기술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VR이 스마트폰을 대체할 정도로 높은 성장성을 지녔다고 평가하고, 경영진에 콘텐츠 개발 등 시장 선점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세계 VR 시장 규모는 올해만 약 2300억원으로, 4년 후 170조원대로 급격한 성장이 예상된다.
이런 분위기를 전달하듯 올해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전자제품 박람회 'CES 2016'에서도 VR을 활용한 3차원 롤러코스터 탑승과 전투 게임, 스마트카 체험이 관람객들의 이목을 끌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오는 22일 스페인에서 열리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서 VR 촬영용 360도 카메라를 최초 공개한다. 삼성전자는 '기어 360'이란 상표 특허 출원도 이미 끝마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