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3월까지 주파수 경매안을 확정 공고하고, 4월부터 경매를 시작한다. 이통3사의 셈이 복잡해지고 있다. /미래부
[메트로신문 나원재 기자] 오는 4월 이동통신사를 대상으로 한 주파수 경매가 시작될 예정인 가운데, 경매에 나온 주파수 대역을 놓고 치열한 '수 싸움'이 있을 전망이다.
미래창조과학부가 내놓은 2016년 이동통신 주파수경매 안은 3월 중 확정 공고를 거쳐 4월 중 경매가 시작된다.
7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현재 미래부가 내놓은 올해 경매 대상 주파수는 700㎒, 1.8㎓, 2.1㎓, 2.6㎓의 4개 대역에서 5개 블록이 해당된다.
세부적으로는 700㎒에서는 총 40㎒(A블록)를, 1.8㎓와 2.1㎓ 주파수에서는 각각 20㎒(B·C블록), 2.6㎓ 주파수대역에서는 40㎒(D블록)와 20㎒(E블록) 등 총 60㎒를 내놨다.
경매는 50회 동시 오름 입찰과 최종 밀봉입찰 등의 혼합방식이 적용되며,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채택한 IMT 표준기술방식으로, 5G 등 기술진화에 따라 새롭게 도입되는 표준방식을 수용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50라운드 결과 가장 많이 금액을 올린 주파수 대역은 무제한 입찰로 진행된다.
이중 정부는 700㎒, 2.6㎓ 등 광대역(40㎒폭) 2개와 인접대역과 광대역화가 가능한 2.1㎓ 대역(20㎒)을 사업자 별로 1개 이상 할당 받을 수 없도록 제한했다. 또, 낙찰총량 제한에 따라 최대 60㎒폭까지 할당받을 수 있게 했다.
가령, 신규 광대역 1개(40㎒폭)와 협대역 1개(20㎒폭) 또는 2.1㎓ 광대역 1개(20㎒폭)과 협대역 2개(각 20㎒폭)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방식이다.
A블록은 최저 경매가격이 10년 사용 기준으로 7620억원이며, B블록은 5년 사용 기준으로 4513억원, C블록은 5년 사용 기준으로 3816억원, D와 E블록은 각각 10년 사용 기준으로 6553억원과 3277억원이다. 총 규모는 2조5779억원에 이른다. 주파수 이용기간은 할당일을 기준으로 시작된다.
정부는 사업자 투자 촉진을 위해 망 구축 비율 상향 조정과 연차별 신규 기지국 구축 의무를 강화하고, 할당대역 내외 각종 서비스와 혼·간섭에 대한 해결방안을 '주파수이용계획서'에 제시토록 했다.
특히 통신업계는 2.1㎓(C블록)를 가장 매력적인 주파수 대역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이 구역의 최종 경매가격은 시작가격인 3816억원의 2배 이상을 웃도는 가격이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C블록은 SK텔레콤이 사용 중인 60㎒ 폭 중 20㎒가 나왔지만, 이중 할당대역을 특정하지 않고 경매 후 할당사업자 인접대역으로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통3사의 최대 격전지로 꼽히고 있다.
SK텔레콤과 KT가 재할당받을 40㎒폭 대가가 낙찰가와 연동되면 가치는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는 구조여서 이통사간 치열한 경매전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LG유플러스의 경우, D와 E블록에서도 입찰이 가능해 유리한 상황이지만, 최대 60㎒ 폭까지 입찰이 가능한 상황에서 C블록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인접대역과 광대역화가 가능한 대역을 1개 이상 할당받지 못하고, 오른 증가율에 따라 나머지 블록에서 최대입찰액이 정해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