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구글도 SK텔레콤에 러브콜…꾸준한 기술개발 결실

SK텔레콤 구글의 러브콜을 받았다. SK텔레콤은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세계 통신기술 기업 비공개 단체에 가입했다. 앞서 회사는 페이스북과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등 신기술 공동개발을 계획하기도 했다. 최진성 SK텔레콤 종합기술원장(사진)은 9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에서 페이스북 주도로 열린 'OCP 서밋'에 참가해 페이스북과 통신 인프라 신기술 공동개발 계획을 공개했다. /SKT



[메트로신문 나원재 기자] 구글이 주도하는 통신 인프라 혁신 프로젝트인 '오픈 컨피그(Open Config)'에 SK텔레콤이 아시아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합류했다.

SK텔레콤은 페이스북에 이어 세계 최대 인터넷 기업 구글까지 글로벌 ICT 주요 기업들이 기술 협력 러브콜을 잇단 보내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SK텔레콤에 따르면 이번 참여는 구글의 제안에 따라 이뤄졌다. 그 배경을 두고 SK텔레콤은 지난 30년간 쌓아온 세계 최고 수준의 통신 기술력과 네트워크 운용 능력, 그리로 끊임없이 혁신 기술을 연구·개발해 온 노력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적극적인 글로벌 기술협력 참여도 주효했다.

지난 2014년 10월 설립된 오픈 컨피그는 시스코, 에릭슨, 주니퍼 등의 네트워크 장비 제조사가 상이한 운영환경의 한계를 극복하고, 네트워크 인프라 효율 제고와 개선 방안을 공동으로 연구·개발하기 위해 설립한 비공개 단체다. 멤버들은 사업자간 핫라인으로 핵심 기술을 공유하고 테스트한다.

실제 네트워크 장비 제조사들은 서로 다른 표준을 적용하고 있었고, 이를 활용하는 통신사와 서비스 제공업체들은 호환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구글, 페이스북, 버라이즌, AT&T, 도이치텔레콤, 애플 등 15개 주요 글로벌 기업에서 총 60여명의 전문가들이 모여 공동 연구·개발에 나섰고, SK텔레콤은 이번에 합류하게 된 것이다. SK텔레콤은 5명의 전문가를 주요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시킨다는 계획이다.

한편, SK텔레콤은 이날 페이스북과의 추가협력 방안도 밝혔다. 양사는 앞서 지난 1월부터 이동통신 산업에 최적화된 데이터 처리 시스템 설계와 핵심기술 개발을 위해 통신사 'OCP(Open Compute Project)'와 2월 'MWC 2016'에서 'TIP'를 공동 설립하는 등 2차례에 걸쳐 협력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TIP(Telecom Infra Project)'는 통신 인프라 고도화와 모바일 서비스 혁신을 위한 글로벌 연합체로, SK텔레콤을 비롯한 도이치텔레콤 등 각국을 대표하는 통신사, 그리고 페이스북, 노키아, 인텔 등 세계적인 IT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이와 관련, SK텔레콤은 9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에서 페이스북 주도로 열린 'OCP 서밋'에 참가해 구체적인 협력을 논의하고, 페이스북과 통신 인프라 신기술 공동개발 계획을 공개했다.

'OCP 서밋'은 페이스북이 주도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혁신 프로젝트 'OCP'의 최대 행사로, 가입한 기업들은 통신 인프라 기술 개발 동향을 공유하고 신기술을 발표한다.

지난 1월 'OCP' 멤버로 합류한 SK텔레콤도 기조연설 패널로 참석해 통신 인프라 기술 개발 성과에 대해 발표했으며, 주요 세션에 초청받아 구체적인 'OCP' 참여 계획을 소개하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SK텔레콤과 페이스북은 통신 네트워크 핵심 인프라인 스토리지 기술의 진화 방향을 제시하고, 공동 협력 방안을 발표해 주목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양사는 'SSD 기반 고속 스토리지' 등을 개발해 고화질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도 밝혔다.

SK텔레콤 최진성 종합기술원장은 "홀로그램, 가상현실, 초고화질 콘텐츠의 대중화로 데이터 트래픽 폭증이 예상되는 5G 시대에 대비해 데이터 처리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All-IT 인프라를 개발하고 있다"며 "SK텔레콤은 페이스북, 구글 등 글로벌 ICT 리더들과 협력을 통해 통신 산업의 진화를 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