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나원재 기자] '알파고(AlphaGo)'와 같은 인공지능(AI) 기술을 연구하는 민간 연구소가 이르면 올 상반기 설립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7일 '지능정보기술 플래그십 프로젝트'와 전문인력 확충, 데이터 인프라 구축,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향후 5년간 1조원을 투자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아울러 이를 마중물 삼아 민간에 5년간 2조5000억원의 투자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미래부는 민·관주도의 기업형 '지능정보기술연구소'를 설립하고, 연구비 지원 등 연구소가 연구에 몰입해 조기에 성과를 내도록 뒷받침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이번 계획은 지능정보기술이 국가 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거스를 수 없는 진화라는 판단에 따랐다.
지능정보기술은 인공지능(AI)보다 더 넓은 범위의 개념, 즉 인공지능 소프트웨어(SW)로 대표되는 '지능'에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등의 정보가 결합된 형태다.
정부는 지능정보기술 연구를 위해 지난해 10월 민관합동 자문위원회를 구성하기도 했다.
지능정보기술 연구소는 민·관이 국가 연구역량과 데이터를 하나로 결집하기 위한 기업형연구소 형태로 설립된다.
미래부에 따르면 현재 삼성전자, LG전자, SK텔레콤, KT, 네이버, 현대차 등 6개 기업이 연구소 설립에 참여하며 정부는 플래그십 프로젝트 등 핵심 기술개발 추진을 위해 연구비를 지원한다.
연구소는 참여 기업들이 30억원씩을 출자, 총 연구인력 50명 안팎의 규모로 운영될 전망이다. 또 핵심 지능정보기술 확보와 각 산업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응용기술 연구 프로젝트 추진도 병행된다. 이는 세계 지능정보기술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것이다.
미래부는 슈퍼컴퓨터, 신경칩, 뇌과학·뇌구조, 산업수학 등 기초기술 분야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데이터분석 전문가와 인공지능 SW 개발자 등 전문 인력의 선제적 양성도 준비 중이다.
SW 중심 대학과 대학 ICT 연구센터, SW 스타랩 사업 등을 활용하되 해외 전문가 리크루팅 사업을 통한 해외 우수인력 확보도 병행된다.
한편, 정부는 지난해 3월 마련한 'K-ICT' 전략에 지능정보기술을 9대에서 10대 전략산업으로 확대 개편하고 이를 정비할 예정이다.
고령화, 치안·테러, 교육 등 다양한 사회현안을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지능정보사회 추진 중장기 종합계획'도 오는 5월 보고할 방침이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로 AI와 소프트웨어 관련 기업인, 그리고 전문가 20여명을 초청해 '지능정보사회 민관합동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박 대통령은 "AI 기술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보다 실용적인 접근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중심의 4차 산업혁명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