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나원재·김나인 기자]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합병(M&A)이 안개 속으로 치닫고 있는 형국이다.
공정거래위원회 심사 보고서 결과는 여전히 오리무중인데다, 최근 SK텔레콤이 CJ헬로비전 인수 실패 가능성을 언급했다는 보도가 여과 없이 전달되고 있다. 이를 둘러싼 정치권의 발언이 관계부처의 공정한 의사결정을 흐릴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SK텔레콤은 M&A가 실패할 것이란 보도는 확대해석일 뿐, CJ헬로비전과의 M&A를 바라는 의지는 흔들림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b]◆SK텔레콤 "상식적인 내용이 와전돼 생긴 일"[/b]
최근 일부 언론은 SK텔레콤이 CJ헬로비전 M&A에 실패할 수 있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혔다고 전했다. SK텔레콤이 최근 뉴욕 증권거래서에 제출한 사업보고서에서 관계당국의 승인을 받는 데 실패할 수 있다고 전한 것.
이에 대해 SK텔레콤 측은 10일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국내 기업은 보고서를 내게 돼 있고, 이중 '리스크 팩터'라는 필수 항목에 따라 모든 리스크를 세세하게 적는 과정에서 오해가 생긴 것"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이번에 제출한 보고서는 북한전쟁 도발에 따른 위험성 등의 상식적인 내용조차 리스크로 설명해야 하는 보고서일 뿐"이라며 "뉴욕증시에 상장된 경쟁사나 다른 기업도 노종조합과의 분쟁에 따른 영업활동 지장, 또는 경영인의 부정행위에 따른 주가 영향 등을 언급했다"고 강조했다.
SK텔레콤에 따르면 미국 증권법과 미국 증권거래법은 회사가 다양한 위험요소들을 나열하게 돼 있고, 이는 기업이 투자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시장과 경쟁 등을 리스크 팩트로 묶어 나열하게 돼 있다. SK텔레콤은 이를 근거로 이번 보고서는 그 이상의 내용을 담고 있는 게 전혀 아니라고 재차 강조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지난달 실적발표 당일 컨퍼런스콜에서도 밝혔지만 CJ헬로비전과의 M&A 무산은 생각하고 있지 않다"며 "그간 밝혀온 입장에도 변화는 없고, 관계부처가 이를 합리적으로 판단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b]◆"국회 개입 굳이 필요 없어"… 공정한 판단 필요[/b]
이런 가운데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CJ헬로비전 피인수·합병에 대해 "통합방송법 개정의 빈틈을 타고 벌어진 일"이라며 부정적인 의견을 밝혔다. 우 의원은 "대기업 방송 장악 가능성과 통신 대기업의 독과점 강화 우려에 대한 종합적인 보완책을 강구하면서 인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통합 방송법 개정 전 M&A가 진행돼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는 발언으로 해석되고 있는 분위기다.
하지만, 한편으론 우 의원의 이번 발언은 관계부처인 미래창조과학부, 방송통신위원회, 공정위의 판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치권의 개입으로 재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에 대해 김성환 아주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이번 M&A에 대해서는 관련 규제 기관에서 전문성을 가지고 법과 절차에 따라 심사하면 되고, 국회가 굳이 개입할 필요는 없는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또 이번 M&A가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심사가 늦어지는 부분은 공정위도 사정이 있겠지만 가능하면 빨리 심사를 마치는 게 좋다"며 "사업자 입장에서는 시간을 끌수록 사업하는데 손해를 본다"고 설명했다.
최근 이슈로 떠오른 산업계 구조조정과 같이 필요할 때는 효율적으로 빨리 이뤄지는 게 좋듯이 M&A도 효율성을 위해 빨리 진행하는 게 좋다는 의견이다.
이경원 동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이번 M&A는 CJ헬로비전이 사업진행을 위해 추가적인 자금을 필요로 하지만 자금을 직접 조달하면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지 않아 다른 주체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라며 "투자 대상은 다른 쪽으로 넘기고 좀 더 잘할 수 있는 분야에 집중한다는 맥락에서 M&A를 추진했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교수는 "국회가 떠돌아다니는 얘기를 여과 없이 흘린다면 위신이 서지 않을 것"이라고도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