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삼성 ‘클럽 드 셰프’에 세계 미식 전문가 뜨거운 관심

'월드베스트 50 레스토랑' 사전행사인 코리아 NYC 갈라디너 참석자들이 '삼성 패밀리허브'와 관련 레시피를 살펴보고 있다. /삼성전자



[메트로신문 나원재 기자] 삼성전자가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세계적인 미식 행사 '월드베스트 50 레스토랑'에 참여해 프리미엄 가전 브랜드로서 색다른 패션 포인트 마케팅을 이어갔다.

지난 2002년부터 시작된 '월드베스트 50 레스토랑'은 글로벌 미식 트랜드를 선도하는 행사로 셰프계의 아카데미 시상식이라고도 불린다.

올해는 이 행사의 사전 이벤트로 지난 9일부터 오는 13일까지 5일간 한국의 독창적인 식문화를 알리는 '코리아 엔와이씨 디너'라는 행사가 처음으로 개최됐다. 강민구·유현수·임정식·장진모·최현석 등 한국의 유명 셰프 5인이 초대돼 발효를 주제로 한 콘퍼런스, 갈라 디너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이 가운데 지난 11일 뉴욕 트라이베카에 위치한 미슐랭 2스타 레스토랑 '정식'에서 100여명의 영향력 있는 미식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발효 주제의 갈라 디너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삼성 '클럽 드 셰프 코리아' 멤버인 강민구·임정식 셰프가 개성 있는 코스의 갈라 메뉴를 선보여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이와 관련, 삼성전자는 전 세계 미식 전문가들이 모인 이 행사에 최첨단 IoT(사물인터넷) 가전인 '패밀리 허브' 체험 공간을 마련해 식품 관리 기능, 레시피 앱 등을 체험해 본 전문가들로부터 기존 냉장고를 뛰어넘는 새로운 제품 활용 가능성을 높이 평가받았다.

12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미셸 트로와그로와 다니엘 블뤼 등 세계적 미슐랭 스타 셰프들의 레시피 콘텐츠를 공유 받을 수 있는 '클럽 드 셰프 앱'은 큰 관심을 받았다.

또 소비자의 요리 패턴을 고려해 화면에 손을 대지 않아도 레시피를 읽어준다거나 '패밀리 허브'만의 효과적인 스크린 구성을 활용한 상세 요리 과정 전달 등에 참가자들은 뜨거운 반응을 보였다.

현재 한국향 '패밀리 허브'에는 강민구·이충후 셰프의 레시피 콘텐츠가 탑재됐으며, '클럽 드 셰프 코리아' 멤버들의 패밀리 허브 소비자들을 위한 레시피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이번 행사에 참석한 임정식·강민구 셰프가 속한 '클럽 드 셰프 코리아'는 한국 최고 셰프 4인으로 구성된 프로젝트로, 소비자들이 프리미엄 가전을 구매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경험을 극대화했다.

이들은 삼성전자 생활가전의 홍보대사로서 국내외 다양한 이벤트에 참여해 소비자와 직접 소통하고 한국 식생활에 맞는 가전제품 개발을 위한 협업도 진행 중이다.

이 외에도 삼성전자는 세계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요리학교인 프랑스 페랑디, 미국 CIA(The Culinary Institute of America) 등과의 협업을 통해 프리미엄 가전 브랜드로서의 전문성과 이미지 강화에 힘쓰고 있다.

한편 삼성전자는 차별화된 마케팅으로 가장 경쟁이 치열한 미국 시장에서도 프리미엄 가전 브랜드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내 프리미엄 가전제품의 대표 주자인 프렌치도어 냉장고는 28분기 연속 점유율 1위를 차지하는 등 주요 프리미엄 가전 제품군에서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삼성 클럽 드 셰프는 쿠킹을 주제로 하는 패션 포인트 마케팅에 중요한 연결고리가 되는 프로젝트"라며 "앞으로도 삼성전자는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미식 문화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최고의 혁신 제품들을 지속적으로 선보여 프리미엄 가전 브랜드로서의 위상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