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일문일답] 팬택 스카이 “초도물량 1만대, 올해 30만대 목표”

문지욱 팬택 사장이 22일 스카이 '아임 백' 공개간담회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메트로신문 나원재 기자] "팬택이 '아임 백(IM-100)'으로 돌아왔지만 상처뿐인 영광만을 뒤로한 노병도 아니고 불사조의 영웅도 아닙니다. 고객의 삶 가운데 평범함을 함께 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시대정신을 고민했고, 통렬한 반성이 필요했습니다."

문지욱 팬택 사장은 22일 스카이 '아임 백'을 공개한 자리에서 "부활을 알리는 첫 제품이 아닌, 고객의 일상에서 친구가 되려는 마음으로 만들었다"며 이 같이 밝혔다.

팬택에 따르면 이날 공개된 '아임 백'은 7㎜대 두께와 130g의 무게로 한층 더 가볍고 슬림해 한 손으로 사용하기 용이하다.

'아임 백'은 퀄컴 스냅드래곤 430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최신 오디오 코덱 칩(WCD9326)이 탑재됐고 APT-X 코덱이 지원돼 블루투스 이어폰과 스피커에서도 CD 수준의 고음질의 음원을 감상할 수 있다.

'아임 백'은 5.15인치에 색재현율이 95%인 LCD가 채택돼 자연스러우면서도 선명한 화질을 즐길 수 있다. 2GB 램과 단말기 크기 대비 3000밀리암페어(mAh) 대용량 배터리가 탑재됐으며 편리한 무선충전과 20% 개선된 전류 소모도 주목할 대목이다.

문 사장은 이날 자리에서 "아임 백과 함께 선보이는 스톤(STONE)은 사랑하는 연인의 목소리, 적막한 나의 공간에 울려 퍼지는 음악이자, 출근시간을 재촉하기도 할 것"이라며 "스톤의 진화도 주목해 달라"고 당부했다.

행사에 참석한 이태원 퀄컴 코리아 사장도 "스카이의 명성이 건재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며 "다양한 분야에서 팬택과의 협력이 결실을 맺을 수 있길 희망하며 성공적인 출시를 축하한다"고 말했다.

다음은 이날 간담회 후 마케팅, 상품전략 등 담당 임직원들과의 일문일답.

-아임 백에서 스톤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다. 타사와 제품 호환은 되는지, 판매 가격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다. 전체적으로 오디오 기능에 공을 들인 것도 같다.

▲스톤은 아임 백이 전달하는 것을 충분히 전달한다. 스톤을 별도로 계획했다기 보다 일상적인 삶 속에서 발굴해 구현했다. 다른 제품 연동은 무선충전, 블루투스가 가능하다. 스톤의 가격은 별도로 판매하는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현재로선 아임 백의 일부로 같이 제공된다. 오디오는 퀄컴 최신 코덱을 썼기 때문에 성능이 개선됐다. 스톤은 고객이 가지고 있는 이어폰에 최적화됐고, 오디오 기능 자체보다 일상적인 삶 속에서 불편함 없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고민이 담겨있다. 가격은 논의 중이다.

-지난해 이후 첫 작품이다. 더 이상 베가 브랜드는 볼 수 없는 건가. 스카이 브랜드를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

▲베가 브랜드에서 스카이로 론칭했다. 경쟁사와의 경쟁에서 고객과 함께 한다는 가치로 전환됐다. 이렇게 당분간 운영할 계획이다. 올해 30만대를 목표로 했다. 제조사마다 사업자마다 정책이 있다. 거기에 맞춰서 출시한다.

-많은 고객들이 궁금해 하는게 A/S 정책이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할건가.

▲A/S의 거점은 과거와 유사한 수준으로 전국 65개 센터로 출발한다. 퀄리티는 과거보다 더 올리겠다는 생각이 있다. 아임 백은 가격경쟁 진입이 아닌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강조한다.

-초도물량과 마케팅 전략이 궁금하다. 휠 디자인이 독특하다. 적용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6월말 출시 초기에 1만~2만대를 목표로 내놓을 것이다. 마케팅은 과거처럼 집중하겠지만 기존 방식과는 달리 TV에선 안 한다.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제품이 아니기 때문이다. 극장과 온라인 SNS를 통해 마케팅 중인데, 온라인에선 소위 '대박'을 쳤다. 사실 휠은 디자인적인 목적성도 있지만 감성적인 아날로그 부분을 강조하고 싶었다. 디자인 요소는 아니지만 자연스럽게 직관적으로 연습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만들었다. 스톤도 아임 백의 일부며 사용자환경(UX) 속에 녹아있다. 아임 백에는 떠난 회사 구성원이 돌아오길 바라는 뜻도 담겼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