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이 아임 백은 우측 후면 상단에 위치한 휠 키만 알아도 대부분 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 소비자에 대한 배려가 묻어난 대목이다. /나원재 기자
[메트로신문 나원재 기자]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 1년 7개월 만에 복귀한 팬택이 스카이 브랜드 '아임 백(IM-100)'으로 소비자를 매료시킬 채비를 끝마쳤다.
팬택은 오는 30일부터 '아임 백'을 44만9900원에 판매한다고 22일 밝혔다. 하지만 팬택은 가격보다 소비자들의 관심과 니즈를 충분히 담은 스마트폰이라는 점에 무게를 뒀다.
문지욱 팬택 사장은 "아임 백은 스펙 경쟁보다 고객에게 실질적으로 도움 될 기능을 고민하고, 고객을 좀 더 편하게 하고, 고객에게 즐거움을 드린다는 마음을 담았다"고 밝혔다. 아임 백을 시중에 출시된 프리미엄 폰의 대항마로 지목하기 어려운 이유다.
내부 콘텐츠는 일반 스마트폰에 있는 대부분의 기능을 담았기 때문에 불편함은 없다. 오히려 외부 디자인에 시선이 보다 끌린다. 외관상 아임 백은 7밀리미터(㎜)대 두께에 5.15인치 디스플레이, 130그램(g)의 무게로 손에 감기는 그립감을 충분히 전달한다. 또한 2GB 램에 3000밀리암페어(mAh)의 대용량 배터리가 탑재됐으며 편리한 무선충전과 20% 개선된 전류 소모도 주목할 대목이다.
무엇보다 직사각형 모양에 후면에 휠 키가 가장 눈에 띈다. 휠 키의 역할만 알아도 아임 백을 다루는 데는 전혀 지장이 없다. 조작 방법도 단순해 설명서를 굳이 읽어볼 필요조차 없을 정도였다.
휠 키는 100단계로 볼륨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어느 화면에서나 원 플레이어 기능으로 듣고싶은 음악을 들을 수 있다. /나원재 기자
휠 키만으로도 카메라 조작 시 타이머 촬영을 할 수 있고 슬라이드 잠금 화면에서는 휠 키를 누른 후 돌리면 쉽게 풀 수 있다. 동영상, 음악, 녹음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에선 휠 키 조작으로 초 단위로 정밀하게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어 동영상 강의나 어학 MP3 등을 반복 학습할 때 효과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휠 키는 100단계 세밀한 볼륨 조절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휠 키를 천천히 돌리면 1단계씩 미세하게 볼륨을 조절할 수 있고, 빨리 돌리면 볼륨은 20단계씩 변경되는 퀵 스핀 기능이 지원된다.
아임 백 못지 않게 스톤도 주인공이다. 스톤의 역할은 무선충전, 전화와 문자 알림, 조명, 오디오 기능 등을 담고 있는 팔방미인이다. 사진은 스톤 위에서 무선 충전 중인 아임 백. /나원재 기자
게다가 휠 키를 누르면 스마트폰을 사용 중인 어느 화면에서나 '원 플레이어'가 바로 실행돼 지금 듣고 싶은 음악을 간편하게 선택해 감상할 수 있다. 이는 스카이 피처폰에서도 볼 수 있었던 기능으로, 기존 콘셉트를 계승한 대목으로 풀이된다.
이날 아임 백과 함께 공개된 '스톤(STONE)'도 주인공이다. 스톤은 한 마디로 아임 백에 무선충전을 지원하면서 오디오 기능과 전화와 문자 알림, 조명 역할 등을 하는 기기다. 스톤은 전용 앱과 연동해 음악재생, 무드램프 등을 사용자가 손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편의성도 고려됐다.
스톤은 우선 하루에도 몇 번씩 충전을 위해 케이블을 찾아야 하는 수고스러움을 없애는 역할을 한다. 단순히 올려놓기만 해도 충전이 바로 시작되며 좋아하는 음악을 아침, 저녁 잠자리에서 들을 수 있다. 스피커 2개에 우퍼가 있어 조금만 소리를 높여도 일반 오디오만큼의 음량을 쏟아낸다.
스톤으로 알람시간을 맞출 수 있고 휴대전화 알림 기능으로 창문을 열거나 청소기를 돌릴 때 시끄러운 주변 환경에서도 각기 다른 조명색으로 알림을 알 수 있다.
아임 백과 스톤의 연결 방법도 단지 스톤 위에 아임 백을 올려놓기만 하면 바로 연결된다. 특히 스톤은 스테레오 사운드 적용을 통해 다이내믹한 360도 서라운드 재생도 가능하다.
아울러, 아임 백은 스톤과 연계한 뮤직라이프를 즐길 수 있도록 32GB의 내장 메모리와 최대 2TB까지 지원하는 외장 메모리 슬롯도 제공한다.
아임 백은 6월 마지막 주부터 클래식 화이트와 플래티넘 블랙 두 가지 색으로 SK텔레콤과 KT를 통해 본격 출시된다.
문지욱 팬택 사장은 "이달 말 우선 1만~2만대를 내놓을 예정이며, 올해 판매 목표는 30만대"라며 "AS는 전국 65개 센터에서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