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이노텍이 개발한 '섬유형 플렉시블 압력센서'를 직원이 선보이고 있다. 이 제품은 다양한 디자인과 강한 내구성, 표면 전체 압력 감지 기능이 장점으로 헬스케어, 스포츠,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LG이노텍
[메트로신문 나원재 기자] LG이노텍의 기술 혁신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LG이노텍은 넓고 유연한 '섬유형 플렉시블 압력센서' 개발에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이에 따라 센서를 의류 원단처럼 둥글게 말고, 센서 표면 전체에서 압력을 감지할 수 있게 됐다.
LG이노텍에 따르면 기존 압력센서는 동전 모양으로 작고 단단해 특정 부분의 압력을 감지하는 포인트 방식이라 넓은 면적에서 고른 압력 측정이 어렵고 신체에 닿으면 이물감을 느낄 수 있었다.
반면, 이번에 개발한 섬유형 플렉시블 압력센서는 신축성 있는 특수 소재를 사용해 착용감이 우수하며 힘이 가해지는 모든 부위의 압력을 빈틈없이 측정한다. 관련 특허만 13건 출원됐고 연내 상용화도 가능하다.
섬유형 플렉시블 압력센서는 의료기기와 자동차 등에 장착돼 압력을 측정하고 분석, 사용자의 건강상태나 주행환경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 등에 활용될 전망이다. 헬스케어와 스포츠, 자동차 등 활용 분야 또한 넓다.
이와 관련, LG이노텍은 헬스케어에서 원격 진료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압력센서가 장착된 보조기구를 착용하거나 카펫 위에 올라가면 신체 균형, 행동 패턴 등을 파악해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스포츠 용품에 압력센서를 사용하면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수준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골프 장갑에서 그립을 쥐는 압력을 감지하고 신발 속 센서는 몸의 중심 이동을 파악해 자세 교정을 돕는 방식이다.
자동차에선 시트의 앉는 자세와 무게, 체형을 파악해 시트나 에어백의 압력, 높이 등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서 탑승자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LG이노텍 섬유형 플렉시블 압력센서는 유연한 재질로 장갑, 카시트, 카펫 등 용도에 따라 쉽게 디자인할 수 있다. 두께 1밀리미터(㎜)의 얇은 센서 1장 넓이가 1제곱미터(㎡)로 넓다. 센서 표면 전체에서 압력을 감지할 수 있어 여러 장을 붙여 넓히거나 작은 사이즈로 잘라 쓸 수 있다.
또 이 제품은 내구성이 뛰어나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으로 떠오른다. 섭씨 영하 40도~영상 80도의 극한 조건에서 240시간 넘게 정상 작동하며 우리나라 성인 남성 평균 몸무게 수준인 70킬로그램(㎏)의 사람이 센서 위에 10만 번을 앉아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김창환 R&D센터장은 "센서의 혁신은 가전,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삶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편리하고 안전하며 즐거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소재·부품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조사기관 BBC리서치는 글로벌 압력센서 시장은 2014년 약 115억달러에서 2019년 약 163억달러로 연평균 7.2%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