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는 1966년 8월 국내 최초의 흑백 TV(사진)를 생산한 이래 디지털 TV, LCD TV 등을 국내 최초로 선보이며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의 발전을 이끌어 왔다. /LG전자
올레드TV로 글로벌 프리미엄 TV 시장을 선도하는 LG전자가 TV 사업 50년을 맞은 가운데 또 다른 반세기 역사를 써내려갈 준비를 하고 있다.
LG전자는 지난 1966년 8월 국내 첫 흑백TV(모델명:19인치, VD-191)를 생산한 이래 디지털 TV, LCD TV 등을 국내 최초로 선보이며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의 발전을 이끌어 왔다.
1982년 미국 헌츠빌에 TV 공장을 설립하며 국내 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해외서 TV를 생산하기 시작한 LG전자는 현재 11개 국가에서 13개 TV 생산 공장을 운영하는 글로벌 TV업체로 자리매김했다. LG전자가 만든 TV는 120여개 국가에서 판매 중이다.
15일 LG전자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생산한 TV만 총 5억대를 돌파했다. 1999년에 TV 누적 생산량 1억대를 넘어섰고 TV 사업 40년 만인 2006년에는 2억번째 TV를 생산했다. 1966년 첫 해 TV 생산량이 9050대였던 것을 감안하면 LG전자의 TV 사업은 비약적인 발전을 이뤄낸 셈이다.
특히 LG전자는 한국을 넘어 세계 시장에서도 '최초의 역사'를 쓰며 TV시장을 개척하며 2000년대 들어 고해상도와 대형화 경쟁에서 한 발 앞서 나갔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은 고화질·대형 TV를 앞세워 2009년 일본을 제치고 TV 매출액 기준 세계 1위로 올라섰다.
LG전자는 TV 제조에만 그치지 않고 방송 규격 개발에도 앞서 나가며 시청자들에게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했다.
지난 1995년 미국 제니스사를 인수한 LG전자는 디지털TV의 원천기술을 확보한 데 이어 1997년 세계 최초로 디지털 방송 수신용 TV 칩셋을 개발했다. 2009년에는 모바일 TV 기술이 북미 표준으로 선정되는 등 글로벌 TV 규격을 주도해왔다.
LG전자가 올해 출시한 LG 시그니처 올레드 TV(사진)는 본질적인 요소인 화면에 철저하게 집중했다. 올레드 화면 이외의 부수적인 요소들이 보이지 않아 시청자들이 탁월한 몰입감과 임장감을 느낄 수 있다. /LG전자
이러한 LG전자는 한국과 북미에서 디지털방송 전송규격(VSB)의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차세대 방송기술도 선도하고 있다.
LG전자는 올해 HDR 방송규격으로 각광받고 있는 HLG(Hybrid Log Gamma) 기반의 지상파방송과 위성방송을 시연하며 HDR 방송기술에서도 한 발 앞서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일본은 지난해 HDR 위성방송 표준 규격으로 HLG를 채택했고, 유럽에서도 유력한 방송 규격으로 HLG를 꼽고 있다. HDR란 화면의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을 보다 깊이 있게 표현해 현장에서 직접 보는 듯한 생생함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한편 LG전자는 올레드 TV를 앞세워 TV의 세대교체를 앞당기고 있다.
LG전자는 2013년 세계 최초로 대형 올레드 TV를 양산하는 데 성공하며 55인치 올레드 TV를 출시했다. 2014년에는 세계 최초로 울트라HD 해상도를 적용한 울트라 올레드 TV를 내놓으며 프리미엄 TV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꿨다.
LG전자는 올레드 대중화에 속도를 높이기 위해 초대형 마케팅을 잇달아 진행하며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B2B 시장도 적극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디스플레이 토털 솔루션을 제공해 새로운 시장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LG전자 HE사업본부장 권봉석 부사장은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로 또 다른 50년을 준비하고 있다"며 "차원이 다른 올레드TV로 글로벌 프리미엄 TV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