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올해 갤럭시S7 시리즈와 노트7을 필두로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독주를 할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될 전망이다. 하반기 아이폰7과의 대결에 따라 결과는 판가름이 날 것으로 보이지만, 현재 분위기라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사진은 지난 2일 미국 뉴욕서 열린 갤럭시 언팩 행사에서 참가자가 갤럭시노트7을 체험하는 모습.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의 국내외 호평이 예사롭지 않다. 이는 삼성전자가 2016년 갤럭시 라인업을 필두로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독주체제를 향한 물꼬를 틀 수 있을지에 대한 여부로 이어질 전망이다.
현재 분위기라면 올 상반기 갤럭시S7 시리즈의 흥행몰이 성공에 이은 하반기 갤럭시노트7의 성공은 기정사실이다. 오는 9월 애플 아이폰7과의 대결에서 승기를 잡는다면 삼성전자의 세계시장 독주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다.
22일 이동통신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 6일부터 예약판매를 시작한 갤럭시노트7은 국내서 정식 출시 하루 전인 지난 18일까지 40만대에 육박하는 물량이 나갔다. 13일간 하루 평균 3만대가량 판매된 셈이다.
앞서 갤럭시S7 시리즈가 지난 3월 초부터 1주일간 하루 평균 1만4000대 수준으로 예약판매가 이뤄진 것을 감안하면 갤럭시노트7은 하루 평균 2배 이상으로 판매됐다. 초도물량만 제 때 공급된다면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수급은 보다 탄력을 받게 되며 판매량은 급증하게 된다.
이러한 분위기는 해외시장이라고 다를 바 없다. 홍채인식과 S펜의 성능에 매료된 해외시장에선 공급 물량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정식 출시일을 9월 초로 미루는 국가도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전자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외 얼리어답터는 홍채인식과 S펜에 열광할 것이지만, 삼성전자가 흥행성공을 자신하는 만큼 물량을 원활히 공급하지 못한다면 흐름이 끊길 수 있다"며 "초기물량 확보에 어려움을 겪은 G5를 예로 들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2016년 삼성전자는 갤럭시S7 시리즈부터 노트7까지 내놓는 제품마다 성공을 거듭하고 있다"며 "이는 내달 아이폰7을 내놓는 애플에겐 상당한 부담이 될 것임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삼성전자의 해외시장 점유율은 보란 듯이 상승하고 있다. 반면 애플의 시장점유율은 여전히 높지만 뒷심이 부족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형국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등은 최근 삼성전자와 중국 화웨이가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을 늘리고 있지만 애플은 점차 위축되고 있다고 밝혔다.
시장조사업체 IDC는 올해 2분기만 해도 500달러(약 56만원) 이상 하이엔드 제품에서 삼성전자는 전년 동기 대비 4.4%포인트 늘어난 35.9%를 기록했다고 추산했다. 하지만 IDC는 애플은 같은 기간 50.9%로 1년 새 9.2%포인트나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양사의 차이는 15%포인트로 좁혀졌지만 하이엔드 시장에선 여전히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다만, 갤럭시노트7의 흥행이 뒷받침된다면 현재 분위기는 언제 역전될지 모르는 일이 돼버릴 수 있다.
게다가 가트너는 올 2분기 중저가 제품을 포함한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22.3%로 전년 동기 대비 0.5%포인트가 늘어났지만, 애플은 12.9%로 1.7%포인트 감소했다고 밝혔다.
갤럭시S7 시리즈와 노트5 등 전작이 시장에서 여전히 통하고, 이하 중저가 폰도 시장에서 기세를 유지한다면 이들의 격차는 더욱 벌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된다.
오히려 세계 시장에서 화웨이의 성장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풀이가 나온다. 화웨이는 중국 소비자들의 영향이 컸지만 세계 하이엔드 시장에서 3.5%의 시장점유율로 전년 동기 1.2%의 3배에 맞먹는 수준으로 성장했다.
화웨이는 또 전체 스마트폰 시장에서도 8.9%로, 전년 동기 0.9%포인트나 증가하며 애플과의 격차를 4%포인트로 추격했다.
결국 이러한 점유율은 하반기 갤럭시노트7과 아이폰7의 경쟁 결과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갤럭시노트7를 두고 세계 시장은 '최고의 안드로이드폰'이라는 찬사를 보내고 있다.
아이폰7은 아이폰7플러스 등으로 라인업을 구축하고 당초 예상보다 약 한 주 정도 늦은 9월23일경 출시될 것으로 전해졌다.
이동통신 업계의 한 관계자는 "결국 삼성과 애플의 경쟁구도로 하반기 시장은 일단락 되겠지만, 결과는 엄청난 영향을 끼칠 것이다"며 "생체인식으로 보안기능을 강화한 갤럭시노트7에 아이폰7에 담긴 혁신이 얼마만큼 통할지가 관건이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