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가 제주 동복·북촌풍력단지(18MWh), 가시리풍력단지(9MWh)를 대상으로 '풍력연계형 에너지저장시스템'를 올해 내로 구축하고 향후 15년간 운영하게 됐다. 제주 최대 규모다. 사진은 제주 가시리 풍력단지 전경. /LG CNS
LG CNS가 제주에너지공사가 발주한 제주 최대 규모(27MWh) '풍력발전 연계형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설치·운영 사업자로 선정됐다.
8일 LG CNS에 따르면 이번 프로젝트는 제주에너지공사의 동복·북촌풍력단지(18MWh), 가시리풍력단지(9MWh)를 대상으로 '풍력연계형 ESS'를 올해 내로 구축하고 향후 15년간 운영하는 사업이다.
풍력연계형 ESS는 풍력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전력수요가 급증하는 시간대에 전력을 공급해 전기에너지 활용도를 높이는 시스템이다.
LG CNS는 ESS 설치를 통해 풍력발전기의 불규칙한 출력을 양질의 전력으로 변환·공급함으로써 풍력에너지의 활용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제주지역 전력계통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에 설치되는 '풍력연계형 ESS'는 민간과 공기업이 협력하여 추진하는 '공유형 수익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LG CNS는 ESS를 직접 책임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수익을 통해 투자비를 회수하는 동시에 사업 레퍼런스를 확보해 향후 사업 기회를 확대 발굴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제주에너지공사는 풍력단지 내 별도의 자체 투자 없이 ESS를 구축하게 됐다.
한편 LG CNS는 이번 사업이 제주 최대 규모의 풍력연계형 ESS 구축 사업임을 감안해 LG 자매사의 에너지 솔루션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안정적 운영을 위해 세계 최고 수준의 LG화학 배터리와 LG전자 전력변환장치(PCS) 제품을 적용해 구축, 운영할 예정이다.
LG CNS는 국내 PCS 용량 기준 ESS 구축 실적 1위와 국내 SI사업자 중 최대 규모의 태양광 발전 구축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이 부분이 인정을 받아 금번 사업에 선정됐다는 게 LG CNS의 설명이다.
한편 LG CNS는 국내 업계 최초로 ESS SI 리스트 중 글로벌 4위에 랭크 됐다.
또 LG CNS는 에너지 사업이 융복합화 되는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는 IT 핵심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SI 사업에서 축적된 사업 관리 역량과 EMS 솔루션을 자체 보유하고 있다.
LG CNS 전략사업부 김태극 부사장은 "금번 제주 풍력연계형 ESS 구축 사업은 LG CNS가 추진하는 에너지자립섬과 한전FR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자체 EMS 솔루션을 적용하고, 도내 우수 중소기업과 공동 구축을 통해 도내 ESS 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오는 2030년까지 도내 발전원을 신재생으로 100% 전환하는 'CFI 2030'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신재생 발전원과 연계한 ESS 확산을 장려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이번 사업이 도내 신재생 연계형 ESS 도입을 가속화할 뿐만 아니라, 제주 '탄소 없는 섬' 비전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