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일반

SK㈜ C&C, 홍하이 그룹과 글로벌 물류 신시장 개척

SK㈜ C&C가 홍하이 그룹과 글로벌 융합 물류 신시장 개척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SK㈜ C&C는 ICBM(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 인공지능(AI), 로보틱스에 기반한 '데이터 서비스 기업'으로, 새로운 글로벌 융합 물류 혁신의 바람을 불러일으킨다는 각오다.

SK㈜ C&C는 11일 홍하이 그룹 팍스콘의 물류 자회사인 저스다(JUSDA)와 '글로벌 융합 물류 전문 합작 기업(JV) 설립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SK㈜ C&C에 따르면 신설 합작기업은 SK㈜ C&C의 자회사로, 10월 중 법인 설립을 마치고, 중국 등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SK㈜ C&C의 인공지능·챗봇(Chatbot) 등 ICT플랫폼 기반의 물류 BPO 사업을 진행한다.

[b]◆물류에 더한 ICT 역량으로 시너지 확대[/b]

SK㈜ C&C와 홍하이 그룹은 ICT 협력사업의 하나로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융합 물류 사업을 선정, 지난해부터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모색해 왔다.

양사는 팍스콘의 물류 전담회사인 저스다의 글로벌 물류 역량에, SK㈜ C&C의 ICT(정보통신기술) 역량을 결합하면 수출입 기업을 중심으로 새로운 화주를 영입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저스다는 중국, 북미, 유럽, 아시아 등 세계 주요 지역에 45개의 창고를 보유한 채 전 세계 400여개 지역에 육상·해상·항공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관련, 신설 합작기업의 첫 번째 물류 BPO 타깃 시장은 홍하이 그룹이 확고하게 자리 잡고 있는 중국이다.

저스다가 제공하는 중국 내 물류 시장 진출과 함께 매년 급성장하는 한국과 중국 간의 e-커머스(전자상거래) 물류 사업과 운송·통관 등 물류 관련 제반 업무들을 화주를 대신해 처리하는 국제 물류 포워딩 사업도 직접 수행한다.

한국과 상하이·홍콩 간 항공 수출입화물의 ▲국내 운송 ▲세관의 수출입 수속 ▲창고(보관)관련 업무 대행을 추진하며 전자 상거래 물량이 많은 중국 보세구 지역에 물류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고 한국 내 수입통관 대행 및 택배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SK㈜ C&C는 융합 물류 ICT 플랫폼 솔루션 판매 및 라이선스 사업도 본격화 한다.

SK㈜ C&C는 팍스콘이 진출한 중국은 물론 일본, 체코, 인도 등을 대상으로 융합 물류 ICT 플랫폼 라이선스 사업을 시작하며 200개 이상의 저스다 거래 물류 기업을 대상으로 한 솔루션 판매를 추진한다.

합작기업는 융합 물류 ICT 플랫폼 솔루션 판매 및 라이선스 사업 확대와 맞물려 글로벌 물류 BPO 사업도 더욱 더 확장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b]◆인공지능 서비스 접목해 물류 혁신[/b]

SK㈜ C&C는 융합 물류 ICT 플랫폼의 가장 큰 강점으로 인공지능 서비스 '에이브릴(Aibril)'과 '챗봇(Chatbot)'을 활용해 물류 현장 업무를 바로 혁신시킬 수 있다는 데 있다고 부연했다.

챗봇이 물류 현장직원과 대화하며 고객 물류 실시간 모니터링은 물론 재고관리·조사와 물류 이동을 직접 지원하게 된다. 또 SK㈜ C&C의 인공지능 에이브릴이 미래 물동량을 예측하고 최적의 물류량을 분석·제시케 함으로써 최고의 물류 효율성을 유지할 수도 있다.

SK㈜ C&C의 '융합 물류 ICT 플랫폼'은 처음부터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클라우드 기반의 오픈 플랫폼으로 설계돼 화주들은 기존에 운영 중인 시스템의 종류에 상관없이 다양한 융합 물류 시스템과 서비스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화주들은 언제든 자신의 시스템과 해당 플랫폼을 연계해 물류 전 주기에 걸쳐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게 있다.

IoT(사물인터넷) 기반의 실시간 물류 추적은 물론 인공지능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물류 수요 예측 및 최적 물류 수단·경로 파악으로 물건의 흐름을 추적·관리·예측할 수 있다.

또 맞춤형 SCM(공급망관리)와 통합 물류 계획 수립·실행을 통해 물류 수익을 높일 수 있는 돈의 흐름도 관리 가능해진다.

이외에도 로봇 기반의 물류 운송 체계와 국가 간 e-커머스 관련 원스톱 물류 서비스 등을 자유롭게 추가·구성하며 물류 서비스 수준도 향상 시킬 수 있다.

SK㈜ C&C 유영상 사업개발부문장은 "SK㈜ C&C의 ICBM, AI, 로보틱스에 기반한 융합 물류 ICT 플랫폼은 화주를 비롯한 물류 서비스 유관 기업들의 글로벌 물류 혁신을 주도할 것" 이라며 "신설 합작기업(JV)을 글로벌 물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선도기업으로 성장시켜 가겠다"고 말했다.

저스다 케이시 양 대표는 "신설 합작기업은 중국은 물론 글로벌 전 지역에서 새로운 화주를 확보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 이라며 "신설 합작기업이 빠르게 물류 서비스 사업을 전개할 수 있도록 합작기업의 신규 물류 사업 발굴과 글로벌 물류 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