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 튤립으로 꾸며놓은 서울로 2017. 밤이 되면 튤립속 전구가 켜진다./나유리 인턴기자
서울시는 지금 변신중이다. '자동차 중심 도시'에서 '사람 중심 도시'로…. 그 중심에 '서울로 7017'이 있다. 박원순 시장은 "서울로 7017은 오직 성장만을 믿고 의지하던 시대에서 시민들의 삶의 질과 행복을 중시하는 시대로 바뀌었음을 상징한다"고 강조했다. 낡은 고가를 철거하는 대신 사람이 다니는 보행길로 재생한 서울로 7017은 도시재생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개장한지 7개월이 된 지금 서울로 7017은 여전히 기대와 우려의 시선이 공존한다.
지난 5일 서울로 7017은 점심 산책에 나선 직장인으로 가득했다. 동료와 벤치에 앉은 이모(48)씨는 발밑으로 지나가는 기차를 바라보며 서울역의 역사를 이야기하고 있었다. 서울로 7017 위에서 서울역을 내려다보았다. 옛 서울역이 아름다웠다. 뒤를 돌면 촛불의 거리 광화문이 눈에 들어왔다.
서울로 7017은 변신 전까지 '서울역 고가도로'로 불려왔다. 이곳은 1970년대 지어진 산업 근대화의 상징물로 서울 중구 남대문로 5가에서 만리동 1가62까지 연결한다.
서울역 고가도로는 인근 봉제공장 상인들이 물건을 나르는데 큰 역할을 했지만 노후화가 진행되면서 1990년대부터 안전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철거와 재건의 기로에 서있던 서울역 고가도로는 2014년 서울시 도시 재생사업에 선정됐다. '교통보다는 안전, 그리고 사람이 1순위'라는 서울시 정책의 영향이다.
서울시는 '서울역 고가도로의 안전문제가 차량의 하중 때문이라면, 사람길은 괜찮지 않을까'라는 관점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보수나 보강으로 충분히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전문가의 분석도 고가도로 재생에 힘을 실었다.
이에 서울시는 만리동·중림동·청파동 램프의 교량과 옹벽 일부(222m)를 철거했다. 대신 콘크리트와 교량을 보수·보강해 강성과 내구성을 높여 서울로 7017을 탄생시켰다.
이곳의 관전 포인트는 조경과 편의시설이다. 서울시는 자연지반 구간인 만리동과 퇴계로 주변에 키 큰 나무를 심어 도시 숲으로 가꿨다. 서울로 7017 산책로에는 원형화분을 배치해 수목식재 50과 228종 2만4085주를 심었다.
서울로는 원형화분에 심어진 나무 이름표를 보는 재미로도 유명하다. 이름표에 다양한 이야기가 적혀있기 때문이다.
'반려나무 입양'제도 역시 화제를 모았다. 시는 '나무심기로 미세먼지를 해결하자'는 목표로 스타트업과 업무협약을 맺어 나무 입양 제도를 시행했다.
반려나무를 입양하면 서울로 7017에 나무가 심어진다. 그 옆에는 입양자의 이야기가 담긴 이름표도 세워진다. 한 시민은 "이야기를 읽다보면 길어보이던 산책길이 금방 끝난다"고 말했다.
산책로에 있는 각종 편의시설도 시민의 발길을 붙잡는다. 서울로 7017의 편의시설은 관광안내소와 전시장, 카페 등 남녀노소가 함께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됐다.
엄마와 함께 산책 나온 박모(9) 군은 AR(증강현실) 화면으로 서울의 명소를 보여주는 호기심화분을 들여다보며 방긋 웃었다.
그러나 박 군은 더 이상 즐거움을 느끼기 어려웠다. 서울로의 18개 편의시설 중 11개 시설은 이날 휴업으로 문이 굳게 닫혀 있었기 때문이다. 운영되고 있는 7곳 중 5곳은 무인 시설이었고, 2곳은 유인 시설이었다.
서울로 7017 누리집을 보고 친구와 '수국식빵'을 찾은 대학생 김모(24) 씨는 매장 앞의 휴업 안내판을 보고 "괜히 왔다" 며 허탈한 표정을 지었다.
이날 문 닫은 11개 편의시설에는 '1월 1일까지 공사·휴업'이라는 안내판이 붙어 있었다. 하지만 안내판에 적힌 공사 기한을 훌쩍 넘기도록 아무런 조치는 없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유인으로 운영되는 편의시설은 외주업체인 '서울관광마케팅주식회사'에서 관리하고 있다"며 "1월 1일에 마감해야 하는 공사가 생각보다 길어져 1월 말쯤 돼야 공사가 끝날 것 같다"고 답했다.
서울로 7017 누리집에 별다른 휴업이나 올해 행사안내가 없는 데 대해서는 "아직 누리집 담당 직원이 1명밖에 없어 차질이 생겼다"며 "인력충원을 통해 누리집에 정확히 안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일부 정치권에선 서울로7017이 지역과의 연계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서울시장에 도전하는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 빅데이터 조사 결과 서울시민의 보행 관련 정책 지지율은 90%를 넘는데 서울로7017의 지지율은 35%에 불과하다"며 "인위적으로 만들어서 실패한 정책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이것도 서울역과의 연계시스템이 안 돼서 만들어진 문제"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