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룡'(臥龍)은 누워 있는 용이란 뜻을 갖고 있어, 앞으로 큰일을 할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한국고전용어사전은 와룡의 의미를 "장차 풍운조화(바람과 구름처럼 예측하기 어려운 변화. 바람과 비를 부리는 재주)를 일으킬 큰 영웅"으로 정의해 놨다.
14세기 나관중이 지은 삼국지연의에는 서서가 유비에게 제갈량을 책사로 추천하면서 "와룡인 제갈량을 한번 만나보지 않겠느냐?"고 넌지시 묻는 대목이 나온다. 중국 촉한의 임금 유비는 제갈량을 군사(軍師·군대의 우두머리)로 맞이하기 위해 그의 초가집을 세 번이나 찾아가 간청했고, 이 일화는 삼고초려의 유래가 됐다.
제갈량이라는 날개를 단 유비가 천하를 호령하게 되는 내용의 소설, 삼국지의 첫 문장은 다음과 같다. "세상은 오랫동안 갈라져 있으면 반드시 하나가 되고 오랫동안 합쳐져 있으면 반드시 나뉘게 된다."
◆용이 잠든 공원, 와룡공원
와룡의 흔적은 조선 초기 발간된 최초의 한글 서사시 '용비어천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29장을 보면 "한 나라의 덕이 비록 쇠퇴하나 임금의 후예가 다시 일어날 것이며 큰 귀 가진 아이를 와룡이 도우니 세상의 어지러움을 구하려고 나시어서(후략)."란 노랫말이 나온다. 여기서 '큰 귀를 가진 아이'가 조선의 초대 임금 이성계다. 이야기인즉슨, 신성한 영물인 용이 태조를 도왔다는 것이다.
누군가는 이성계를 조선의 1대 왕으로 만들어준 용의 모습을 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실낱같은 기대감을 안고 이곳을 찾을지도 모를 일이다.
이달 22일 서울 종로구에 자리한 '와룡공원'을 방문했다. 공원은 지하철 1호선 종각역 3-1번 출구로 나와 공평유적전시관 앞에서 종로 02번 마을버스를 타고 약 13분 후 성대 후문 정류장에서 내리면 나온다.
가파른 비탈길을 따라 노랗게 핀 개나리 향기를 맡으며 229m가량을 걸어 올라갔더니 '와룡공원'이라고 적힌 하얀색 푯말이 등장했다.
이날 와룡공원에 온 가회동 주민 박모(42) 씨는 "코로나가 활개친 이후 매일 집에서 아이들과 씨름하느라 운동도 못하고 우울했는데 요새 애들이 다시 학교에 가서 짬이 생겨 공원을 찾았다"며 "삼청공원도 집과 가깝지만 여기만큼 운동시설이 잘 갖춰져 있지 않아 와룡공원만 주구장창(주야장천) 오게 된다"고 말했다.
지난 22일 와룡공원에서는 평일 오후임에도 운동하는 시민들을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백발이 성성한 노인은 자동차 운전대처럼 생긴 운동기구 '숄더 스트레치'에 양손을 올려놓고 시계방향으로 휙휙 돌리며 어깨 근육을 풀었고, 선캡을 푹 눌러쓴 아주머니는 지압봉에 한쪽 다리를 걸치고 아라베스크, 그랑바뜨망 같은 발레 동작을 연습했다.
◆뽑을 사람 없어 고민
'용이 누워있다'는 공원 이름 때문이었을까. 한때 대권 잠룡으로 꼽혔던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도 와룡공원 일대에서 최후를 맞이했다. 박 전 시장은 작년 7월 비서실 직원으로부터 성추행 가해자로 지목된 뒤 연락이 두절됐다가 실종 7시간 만에 종로구 북악산 숙정문 인근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은 CCTV에 찍힌 박 시장의 마지막 행적인 와룡공원 일대를 수색해 숙정문과 삼청각 사이 성곽길 인근 산속에서 그의 시신을 찾아냈다. 박 시장이 사망하면서 서울시는 시장 궐위 상태에 놓이게 된다. 약 10개월간 비어있던 서울시장 자리는 다음달 7일 치러지는 보궐선거에서 선출된 새 인물이 메우게 된다.
지난 22일 오후 와룡공원 앞 정자에서는 철쭉 색 점퍼를 입은 할머니 두분이 나란히 앉아 두런두런 담소를 나누고 있었다.
명륜동에 사는 김모(82) 할머니는 "마을 어귀에서 친구 기다렸다가 매일 함께 산책 오는데 집에서 와룡공원까지 딱 30분 걸린다"며 "우리 같이 나이 든 사람들은 아프다고 집에만 있으면 치매 걸리니까 자꾸 밖에 나와서 운동도 하고 그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봄이면 날씨가 따뜻해져 와룡공원 여기저기에 매화, 벚꽃, 산수유, 진달래가 피어난다"면서 "요즘은 이 꽃 보는 재미에 산다"고 말하며 활짝 웃었다.
옆에 앉은 이모(80) 할머니에게 '다음 시장은 어떤 사람이 됐으면 좋겠냐'는 질문을 던졌다. 그는 "우리 같은 노인네에게 그런 건 왜 묻느냐"면서 손사래를 치며 즉답을 피했다. 이후 잠시 곰곰이 생각하다가 입을 연 이 할머니는 "다음번 시장은 잘못을 저질러 제 손으로 죽거나 감방에 안 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와룡공원 #삼국지연의 #나관중 #조조 #유비 #되살아난_서울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