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동생 곱슬머리 / 개구쟁이 내동생, 이름은 하나인데 / 별명은 서너 개'라는 동요 노랫말처럼 누에도 '잠(蠶), 천충(天蟲), 마두랑(馬頭娘)'이라는 세 개의 한자어 명칭을 갖고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 따르면 중국 주나라의 기자가 기자조선을 세울 때 우리나라에 누에를 들여왔다고 전해진다. 한서 지리지의 기록으로 미뤄봤을 때 누에를 치기 시작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3000여년 전이다. 누에는 오랜 세월을 인간과 함께하다가 여러 개의 이름을 갖게된 건 아닐까?
우리 조상들은 값비싼 비단을 만드는 명주실을 뽑아내는 누에를 귀하게 여겨 '하늘이 내린 벌레'란 뜻을 가진 천충이라고 불렀다. 예로부터 뽕나무밭이 많았던 잠원은 조선시대 당시 각 고을에 뒀던 양잠장인 잠실도회가 있었던 곳으로, 세종 때부터 잠원동 인근 '신잠실', 송파구 잠실동 '동잠실', 연희동 '서잠실' 등 3곳의 누에 사육방(잠실)이 운영됐다.
서울 서초구 잠원동에 위치한 잠원한강공원은 영동대교 남단 중앙부터 잠수교 상류 철탑까지 길이 5.4km, 총 면적 47만4213㎡ 규모로 이뤄졌다. 둔치에는 육상경기장, 축구장, 농구장, 배구장, 수영장, 체력단련장 같은 체육시설과 자전거도로를 갖추고 있다.
◆코로나 종식 파티 열려
지난 10일 오후 강남 제일의 번화가에 자리한 잠원한강공원을 찾았다. 지하철 3호선 잠원역에서 내려 4번 출구로 나와 도보로 13분(812m)을 걸었더니 공원이 모습을 드러냈다. 한강과 가까운 쪽에는 자전거 도로가 양방향으로 나 있었고, 잔디밭이 펼쳐진 쪽에는 옅은 분홍색의 도보길이 조성됐다.
이날 잠원한강공원을 방문한 취업준비생 조수영(28·이하 가명) 씨는 "친구들이 한강 가자고 졸라대서 오랜만에 나왔다"면서 "최근에 코로나가 너무 심해져 외출을 자제했는데 여기 와서 보니 나만 바보같이 집콕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이 너무 많아서 나만 모르는 코로나 종식 파티가 열린 줄 알았다"며 놀라워했다.
조 씨는 "5인 이상 집합금지 조치로 공원이 한산할 줄 알았는데 4명 꽉꽉 채워서 다들 재밌게 잘 노는 것처럼 보인다"며 "친구 2명 더 부르고 싶을 지경"이라고 털어놨다.
지난 토요일 잠원한강공원은 거리두기 2단계가 시행되고 있다는 사실이 무색할 정도로 발 디딜 틈 없이 붐볐다. 시민들은 잔디밭에 돗자리를 올려놓고 삼삼오오 모여 앉아 즐겁게 담소를 나눴다. 감염병 사태를 의식해서인지 사방으로 한 팔 간격을 띄운 상태에서 자리를 깔고 누웠지만 인파가 워낙 많아 감염 확산이 우려됐다.
박솔희(32) 씨는 "쉬는 날마다 러닝크루들과 따릉이 타러 자주 공원에 온다"면서 "길가에 예쁘게 핀 꽃들을 보며 답답한 마음 치유받고 간다. 여기에 꽃을 심어준 분들께 감사 인사를 드리고 싶다"며 활짝 웃었다.
잠원한강공원에는 강줄기를 따라 크게 두 갈래 길이 났다. 빨간색, 노란색, 분홍색 튤립이 빽빽이 심어진 기다란 녹지띠가 인도와 자전거길을 가로질렀다. 만개한 봄꽃들이 나들이객들의 발걸음을 멈춰 세웠다. 이날 공원을 방문한 시민들은 스마트폰 카메라로 튤립을 열심히 찍어댔다.
이날 공원에서 만난 황태진(41) 씨는 "서울에서는 미세먼지 없는 날이 손에 꼽게 적어서 코로나 시국임에도 밖에 나오지 않을 수 없었다"면서 "놀러 나온 사람이 할 소린 아니지만 한강공원에서 취식은 금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코로나 무섭지 않은지 다들 뭘 먹고 있다"고 말했다.
◆그리운 야외수영장
10일 잠원한강공원은 피크닉과 라이딩을 즐기는 방문객들로 북적였다. 직장인 송진주(32) 씨는 "친구가 생일이라 축하 파티하려고 모였다"면서 "마스크 벗어도 안심되는 곳은 한강뿐이라 선택지가 별로 없었다"며 어깨를 으쓱 올렸다.
송 씨는 "작년에 코로나 막겠다며 한강공원 출입 통제하고 그러던데 정말 말도 안되는 조치라고 생각한다. 막아놓은 곳 바로 옆에 사람들이 풍선효과로 몰렸다"면서 "우리 동네는 벤치 가운데 X자 스티커 붙여서 띄어 앉을 수 있도록 하던데 공원엔 그 정도가 딱 적당하다"고 말했다.
코로나에 걸릴까 봐 걱정돼 잔디밭이 아닌 둔치에 자리를 잡은 시민들도 몇몇 보였다. 친구 2명과 치맥을 즐기러 온 강진석(36) 씨는 "지금 저기에서 제트스키 타는 사람이 너무 부러워서 한번 타는데 얼만지 알아봤는데 치킨 2마리 값이라 참았다"며 "빨리 코로나가 끝나서 야외 수영장이나 열려서 운동 좀 실컷 하고 싶다"는 바람을 전했다.
한강시민공원에 야외수영장이 처음으로 생긴 건 지금으로부터 32년 전의 일이다. 서울시는 1989년 뚝섬과 잠원 등 2개 한강고수부지 공원에 약 20억원을 들여 노천 수영장을 만들어 개장했다. 수영장 크기는 각 1500평 규모로 27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였다. 잠원-뚝섬지구 수영장이 큰 인기를 끌자 서울시는 망원지구(양화대교~성산대교), 이촌지구(동작대교~반포대교), 잠실지구(잠실대교~영동대교), 여의도지구(여의도 순복음교회 앞 주차장 인근) 총 4곳에 수영장을 추가로 건립하기로 결정하고 이듬해 물놀이 시설을 개장했다. 잠원한강지구(구 잠실한강지구) 야외수영장도 이때 탄생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