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파리를 방문한 관광객들이 빼먹지 않고 들르는 곳이 있다. 몽마르트르 언덕이다. 높이는 약 130미터로 언뜻 들었을 땐 '에계계, 그 정도밖에 안 돼?'라는 생각을 하기 쉽지만 파리시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한 탓에 늘 사람들로 붐빈다. 몽마르트르란 이름은 '마르스(전쟁의 신) 산'을 의미하는 라틴어 'Mons Martis'에서 왔다는 말도 있고, '순교자의 산(Mont des Martyrs)'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존재한다.
피카소, 모딜리아니, 툴루즈 로트렉, 베를리오즈 등 많은 예술가들이 몽마르트르를 근거지로 삼아 활동했다. 파리에 몽마르트르 언덕이 있다면, 서울엔 몽마르뜨 공원이 있다.
서초구는 지난 2005년 반포배수지에 6000여평 규모로 수목공원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몽마르뜨 공원은 프랑스의 유명 의류 브랜드 '까샤렐'의 장 부스케 회장이 사회 공헌 활동의 일환으로 제안한 것이다. 까샤렐은 판매 수익금의 일부를 자연보호 기금으로 마련해 내놓고, 서초구는 반포배수지 일대에 나무를 심어 공원을 만들기로 했다. 공원명은 인근 서래마을에 프랑스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어 파리의 명소를 따와 지었다고 구는 전했다.
◆해외여행 대신 동네여행
지난 22일 오후 '서울 속 작은 프랑스' 몽마르뜨 공원을 찾았다. 지도 안내대로 지하철 7호선 고속터미널역 5번 출구로 빠져나와 국립장애인도서관 방향으로 약 650m(14분)를 걸었다. 예상과 달리 공원 입구가 보이지 않았다. 이리저리 기웃대다 누에다리라는 푯말을 발견했다.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숲길을 조금 들어가서야 누에다리로 이어진 몽마르뜨 공원에 도착할 수 있었다. 가장 먼저 눈에 띈 건 가마솥 솥뚜껑을 엎어 놓은 것처럼 보이는 조형물로, '서초구 상징기준점'이란 이름이 붙어 있었다.
상징기준점은 2010년 세계측지계 도입에 따라 GPS 측량으로 설치한 측량 기준점이다. 구는 상징기준점과 함께 세계 주요나라를 표기한 지명표시석과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바닥 지명판을 공원 입구에 설치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공원에서 만난 대학원생 임모 씨는 "집에만 있기 답답해 놀러 갈 만한 곳을 알아보다가 '나혼자 산다'에 카이가 다녀간 곳이라 해 궁금해 와봤다"면서 "토끼가 많다고 들었는데 암만 찾아봐도 잘 안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토끼는 없지만 프랑스의 정취가 묻어난 작품들이 많아 보는 재미가 쏠쏠하다"면서 "집 밖에 나온 보람이 있다"며 활짝 웃었다.
몽마르뜨 공원 한가운데에는 두명의 남녀가 춤추는 모습을 형상화한 조각상이 설치됐다. 오귀스트 르누아르가 캔버스에 그린 '부지발의 무도회'를 본뜬 작품으로, 어디에선가 노래가 흘러나오면 살아 움직일 것처럼 역동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그 옆엔 몽마르뜨에서 작품 활동을 펼친 빈센트 반 고흐, 폴 고갱, 파블로 피카소의 조각상이 나란히 놓였다.
아이들은 몽마르뜨 화가들의 자화상이 새겨진 포토존 앞에서 방방 뛰며 즐거워했다.
동작구에서 온 조모 씨는 "해외여행을 가고 싶을 때마다 찾는 코스 중 하나"라면서 "외국인들이 많은 동네를 돌아다니며 여행 못 간 아쉬움을 달래고 있다"고 털어놨다.
그는 "파리 몽마르뜨에서 실팔찌 강매 당할까 봐 주머니에 손을 넣거나, 팔짱 끼고 다니고 했던 추억이 떠오른다"고 했다.
◆사색하기 좋은 공간
공원 한켠에서 텐트를 치고 캠핑을 즐기는 시민들도 있었다. 동네 주민 박모 씨는 "인위적인 콘크리트 길 뿐만 아니라 자연 그대로의 흙길도 나 있어 산림욕 하기 좋다"면서 "평일에는 사람도 없고 조용해서 공원 여기저기 적혀있는 시를 감상하며 사색하기 안성맞춤"이라고 말했다.
그의 말대로 공원 곳곳에 시가 수 놓인 팻말이 놓여 있었다. '자연은 하나의 신전, 거기에 살아 있는 기둥들은 / 때때로 어렴풋한 얘기들을 들려주고 / 인간이 상징의 숲을 통해 그곳을 지나가면 / 그 숲은 다정한 시선으로 그를 지켜본다 // 밤처럼, 그리고 빛처럼 광막한 / 어둡고 그윽한 조화 속에서 / 향기와 빛깔과 소리가 서로 화합한다' 공원을 유유자적 걷다가 발견한 샤를 보들레르의 시 '교감'이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