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빨라진 유로지역 경제 회복…기존 전망 상회할 수도"

해외경제포커스

펜데믹 이후 GDP 추이, 숙박음식점 매출, 취업자수 및 근로시간. /한국은행

빨라진 유로지역 경제 회복세에 기존 전망 성장치보다 상당폭 상회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해외경제포커스 '최근 유로지역 경기회복 모멘텀에 대한 평가'에 따르면 팬데믹 이후 글로별 경기를 견인했던 G2(미·중)경제의 회복흐름이 최근 주춤하고 있는 모습이다. 반면 세계경제의 또 다른 축인 유로지역 경제의 회복은 빨라지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유로지역 전체로는 대면서비스를 중심으로 회복흐름이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국가별로는 델타변이 정도와 공급차질 영향에 따라 회복속도가 상이했다.

 

이는 대면서비스를 중심으로 소비회복이 성장을 견인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유로지역의 민간소비는 지난 1분기 -2.1%에서 2분기 3.7% 확대됐다. 취업자 수·근로시간 등 고용상황도 크게 개선됐다.

 

다만 델타변이가 크게 확산된 스페인과 그렇지 않은 이탈리아의 회복세가 크게 엇갈렸다. 제조업 중심의 독일은 공급차질의 영향으로 2분기 성장률 1.6%를 기록하며 역내 평균(2.2%)을 하회했다. 원자재 공급차질, 운임상승 등이 장기화됨에 따라 제조업 비중이 높은 독일 등의 생산·수출 회복세도 다소 제약이 걸렸다.

 

유로지역의 향후 회복흐름은 ▲경제활동 재개 ▲투자 활성화 ▲공급병목 해소속도에 따라 크게 좌우될 것으로 관측된다.

 

먼저 보건위기 우려가 빠르게 완화되는 가운데 견실한 견실한 소득·고용여건을 바탕으로 서비스부문을 중심으로 한 소비회복이 유로지역의 성장세 확대를 견인할 전망이다.

 

EU차원의 인프라 투자계획인 '경제회복기금'의 집행이 시작되면 투자 활성화에 크게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자동차 생산, 천연가스 선물가격. /한국은행

공급병목에 대한 변수는 남아있는 상황이다.

 

유로지역은 자동차 생산 비중이 미국보다도 큰데 반도체 공급차질 장기화로 독일을 중심으로 생산부진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유가의 높은 수준 지속, 재고부족 및 수입차질로 인한 천연가스 가격 상승세와 중국 전력난이 동시에 맞물리면서 당분간 에너지가격도 높은 오름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궁급병목이 당분간 경기회복 속도를 늦추고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신동수 한은 미국유럽경제팀 과장은 "향후 유로지역은 소비회복 가속화, 인프라 투자확대 등에 힘입어 회복모멘텀이 강화되면서 기존 전망을 상당폭 상회하는 성장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최근 중국의 성장세가 다소 둔화되고 여타 신흥국도 낮은 백신접종률로 인해 경기회복이 더딘 상황에서, 유로지역의 견조한 성장흐름은 당분간 글로벌 경기회복에 상당한 기여를 할 것"이라고 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