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되살아난 서울] (100) 정수장 재생해 만든 서울 서남권 파라다이스 '서서울호수공원'

16일 오전 서서울호수공원을 찾았다./ 김현정 기자

1970년대 중후반 서울 강서구는 인구수는 많지만 상수도 인프라가 부족해 식수난에 시달리는 지역이었다. 당시 강서구는 1959년 건설된 인천시 상수도시설인 김포정수장으로부터 수돗물을 공급받았다. 김포정수장은 일평균 11만t의 수돗물을 생산했는데 이중 7만t이 인천시에 갔고, 나머지 4만t만이 강서구로 흘러들었다. 때문에 이 시기 강서구에 속했던 화곡동, 신정동, 방화동, 가양동, 신월동, 공항동, 발산동 주민들은 매년 물 부족 문제로 고통받아왔다.

 

이에 서울시는 강서 일대의 물기근을 해결하고자 1979년 약 2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인천시로부터 김포정수장(신월정수장)을 인수했다. 이후 김포정수장은 강서구와 양천구 5만여가구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상수도 시설로 20년 넘게 운영되다가 2003년 10월 '서울시 정수장 정비계획'에 의해 영등포정수장이 그 기능을 대체하게 되면서 가동이 중단됐다.

 

서울시는 정수장 부지를 청소년 유스타운이나 임대주택, 영어체험마을 등으로 개발하는 계획을 검토하다가 2006년 이 땅에 초대형 공원을 만들기로 결정했다. 녹지공간이 부족한 서남권 주민들을 위해 서서울호수공원을 조성, 지역간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서다.

 

◆어른들을 위한 '키즈카페'

 

16일 오전 시민들이 서서울호수공원에서 담소를 나누고 있다./ 김현정 기자

이달 16일 수돗물을 공급하는 정수장에서 주민들의 휴식처로 다시 태어난 '서서울호수공원'을 찾았다. 지하철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 6번 출구로 나와 652번 버스를 타고 서서울호수공원 정류장에서 내렸다. 횡단보도를 건너 좁은 골목길을 따라 207m(4분)을 걸었다. 눈앞에 드넓은 초원이 나타났다. 2009년 개원한 서서울호수공원은 기존 정수장 부지(13만6772㎡)와 함께 인근 능골산(8만8646㎡)을 새롭게 단장해 만든 총 22만5368㎡ 규모의 대형 테마공원이다. 위에서 보면 어금니 모양과 비슷하다. 공원 정문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재생공원 ▲어린이 놀이터 ▲열린풀밭 ▲열린마당 ▲호수 ▲몬드리안정원 ▲몬드리안벽천 ▲몬드리안책방 ▲산자락공원 ▲사색의 공간 등이 차례로 들어섰다.

 

공원 한가운데 커다란 호수가 자리했는데 수면 위에 초록색, 노란색, 붉은색 나무와 옅은 갈색의 참억새가 그대로 비쳐 물이 아닌 거울처럼 느껴졌다.

 

16일 오전 아이와 서서울호수공원을 방문한 주부 이모 씨는 "여기는 아침에는 어른들을 위한 키카(키즈카페)가 된다"면서 "동네에 은퇴하신 노인 분들 거의 대부분이 일찍이 공원에 나와 친구들과 운동을 하거나 수다를 떨곤 한다"고 말했다.

 

16일 오전 시민들이 서서울호수공원에서 걷기 운동을 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이날 오전 서서울호수공원에 온 주민들은 볕이 잘 들고 호수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문화데크광장 벤치에 앉아 이웃들과 담소를 나눴다.

 

파란색 점퍼를 입은 한 어르신이 친구에게 전라북도 완주군에 놀러 가 대둔산 케이블카를 탄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었다. 그는 "다른 데는 경로 우대로 반값에 해주잖아. 근데 여기는 1000원밖에 안 깎아줘. 그래서 케이블카 타는 데 원래 1만2500원인데 1만1500원이나 해"라며 투덜거렸다. 이 말을 들은 노인은 "뭐 그렇게 비싸대"라며 혀를 끌끌찼다.

 

시민들은 철봉 여러 개를 구부려 만든 것처럼 생긴 의자에 터를 잡고 텀블러에 싸들고 온 커피와 빵을 나눠 먹었다. 이곳을 지나가던 할머니 중 한분이 "우리 여기 앉아서 쉬면 되겠다"라고 말하자 다른 어르신이 "궁둥이 아파서 안 돼"라며 다른 곳으로 가자고 제안했다.

 

16일 오전 시민들이 서서울호수공원에서 사색을 즐기고 있다./ 김현정 기자

산자락공원 가는 길에서는 앙칼진 소리로 '왕왕' 짖는 하얀색 말티즈와 견주를 만났다. 이들 옆을 지나가던 한 동네 주민이 "에고 시끄러워… 지금 엄마 지키는 척하며 밥값 하는 거야? 알겠으니까 그만해"라며 강아지를 진정시켰다. 곁에서 우연찮게 이 말을 들은 사람들이 전부 폭소를 터뜨렸다.

 

◆자연의 품에서 행복 찾는 시민들

 

16일 오전 서서울호수공원 내 몬드리안 정원을 찾았다./ 김현정 기자

서서울호수공원에서 가장 인상 깊은 곳은 몬드리안정원이었다. 공간을 반듯한 네모로 쪼개 놓아 얼핏보면 가을걷이를 마친 논이 펼쳐진 것처럼 보였다. 추상화가 몬드리안의 구성기법을 도입해 수직과 수평의 선이 조화를 이루는 정원으로, 정수장의 침전조 일부를 존치해 장소의 역사성을 살려 과거와 현재가 만나는 장소로 가꿨다고 시는 설명했다.

 

16일 오전 서서울호수공원 옥상정원을 방문했다./ 김현정 기자

몬드리안정원에서 옥상정원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옥상정원은 전쟁 후 폐허가 된 도시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정수장 여과지동의 콘크리트 기둥을 남겨 파고라 구조물로 재해석한 것이라고 한다. 콘크리트 기둥 꼭대기에는 철근 잔해가 신생아의 배냇머리처럼 불규칙적이게 꽂혀 있었다. 얼기설기 자란 등나무가 콘크리트 구조물 위를 뒤덮었는데 덩굴식물 특유의 강한 생명력이 느껴졌다.

 

16일 오전 에어부산 항공기가 서서울호수공원 상공을 지나가고 있다./ 김현정 기자

몬드리안정원과 옥상정원 외에도 서서울호수공원의 옛 정취를 만끽할 수 있는 곳이 더 있다. 바로 재생공원이다. 정수시설의 수도관은 자전거 거치대와 의자로 재탄생해 인간의 품으로 돌아왔다. 귀를 덮은 검은색 군밤장수 모자를 쓴 할아버지 한 분이 수도관 모양의 벤치에 앉아 머리 위를 지나가는 비행기를 쳐다봤다. 그는 "여기는 저 비행기 소리만 아니면 참 좋은데. 참말로 시끄러워. 오래 살아도 적응이 안 돼"라고 하소연했다.

 

서서울호수공원에는 항공기 소음이라는 환경적 제약을 예술로 승화한 시설이 설치됐다. 41개의 소리분수다. 이 분수는 비행기가 날아가면 그 소리(81dB 이상)를 감지해 자동으로 물을 틀도록 설계됐다. 이날 오전 주황색 꼬리(티웨이 항공), 민트색 꼬리(에어 서울), 연두색 꼬리(진에어), 하늘색 꼬리(대한항공)를 가진 비행기들이 호수공원 상공을 수차례 가로질렀지만, 동절기여서 분수 가동을 정지해 놨는지 물쇼를 볼 수는 없었다. 공원에는 이런 재밌는 푯말이 박혀 있었다. "소리분수 앞에서 큰소리로 떠들거나 소음을 내면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어요. 오작동과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소음을 삼가주세요"라고.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