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는 '삼일공원'으로 불리는 곳이 여럿이다. 충청북도 청주시에, 강원도 횡성군에, 충청남도 홍성군에, 경상북도 구미시 등에 각각 하나씩 자리해 있다. 수도 서울에도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저항해 전 민족이 일어난 항일독립운동을 기리는 삼일공원이 하나 존재한다. 동작구 사당동에 자리한 이 공원은 3·1운동 참가자이자 민간신문 최초의 여성 기자인 언론인 최은희에 의해 만들어졌다.
◆삼일공원의 역사
1967년 4월 최은희는 '독립공원 설립을 제의한다'는 제목의 원고를 써서 동아일보에 보냈다. 투고문에서 그는 "서울시에서 가까운 경기도 땅이라도 좋다. 헐벗은 야산 중 한 곳을 정해 금년부터 당장 우리의 손으로 해마다 나무를 심고 가꾸어 수십년이 지나면 무성한 숲이 돼 1896년 서재필 박사의 주재로 이뤄졌던 독립공원보다 생생한 독립의 상징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세계 어느 식민지 국가에서도 우리나라 여성들처럼 독립운동에 열렬히 투쟁한 사실이 없은즉 이 독립공원은 한국의 이채라 할 것이며 발길을 멈추는 내외국 길손들의 교훈이 되리라 믿어 나는 관계당국에서 이 뜻을 받아들여 줄 것을 믿고 건의한다"고 덧붙였다.
펜은 칼보다 강했다. 투고문이 세상에 나온 후 정부는 동작구 사당동에 있는 야산을 공원 용지로 지정하고, 서울시는 2년생 리기다 소나무 1000그루를 후원키로 결정한다.
지난 4일 오후 삼일공원을 찾았다. 지하철 7호선 이수역 10번 출구에서 내려 사당중학교 방향으로 933m(16분 소요)를 걸으면 공원으로 진입하는 계단길이 나온다. 공원은 하늘 위에서 보면 앵무새가 쇠봉에 앉아 있는 것처럼 생겼다. 새의 머리 부분에는 공원 입구가 위치해 있다. 이곳에서는 '아기돼지 삼형제'라는 동화에서 막내가 지은 것처럼 생긴 붉은색 벽돌집을 만날 수 있다. 삼일공원관리실 겸 경로당으로 사용되고 있는 단층 벽돌건물을 시작점으로 삼아 남쪽 방향으로 걸었다.
가장 먼저 발길이 닿은 곳은 3.1광장이었다. 광장은 기미독립선언서가 새겨진 기념비와 유관순 열사상, 거대한 태극기 게양대 등으로 꾸며졌다. 이날 공원에 나온 동네 주민 이모 씨는 "이전에는 유관순상도 없고 독립선언서가 적힌 돌도 없어 말만 삼일공원이었다"며 "해가 갈수록 조금씩 좋아져 독립공원의 구색을 갖추게 됐다"고 설명했다.
'오등은 자에 아 조선의 독립국임과 조선인의 자주민임을 선언하노라'로 시작되는 기미독립선언서가 새겨진 기념비는 구민 제안 사업인 '3·1운동 기념테마공원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2016년 건립됐다. 그 옆에는 2018년 한국여기자협회가 일제에 맞서 싸운 유관순 열사의 애국심과 독립을 향한 의지를 후손에 길이 전하고자 국가보훈처와 동작구청 후원으로 건립 기증한 유관순 열사상이 세워졌다.
◆판자촌에서 주민 쉼터로··· 곡절 많은 공원
이날 오후 삼일공원에 나온 주민들은 어린이놀이터에 마련된 트랙 위를 달리거나 청춘놀이터에 설치된 운동기구를 이용해 신체를 단련했다. 스마트폰으로 음악을 틀어 놓고 자작 랩을 연습하는 청년도, 강풍으로 망가진 길고양이 급식소를 보며 안타까워하는 어르신도 있었다.
사당동 주민 박모 씨는 "이 동네 오래 살아서 잘 아는 데 옛날에 여기가 다 판자촌이었다"면서 "그때 공원 만든다고 사람들 내쫓고 난리도 아니었다"며 혀를 끌끌 찼다.
삼일공원은 건설부 고시로 1968년 공원으로 지정됐다. 서부이촌동 철거민이 이곳에 터를 잡으면서 1년만에 2000여동의 판잣집이 들어섰다. 1969년 4월 생활고를 비관하던 가장이 처와 자식 둘을 살해하고 경찰에 자수하는 일이 있었다. 날품팔이로 생계를 연명해온 그는 삼일공원 옆에 3평짜리 무허가 움막을 지어 생활했는데 이를 철거한다는 말을 듣고 충격을 받아 처자식을 죽였다고 진술했다.
공원 지정 후 20여년이 흐른 1989년 서울시는 녹지 조성 공사에 들어가 이듬해 삼일공원을 개원, 현재에 이르고 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