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랑구에는 '망우동'이라고 불리는 지역이 존재한다. 왜 이런 동명이 붙었을까.
지명의 유래는 '숙종실록'에서 찾을 수 있다. "태조께서는 '자손들이 뒤따라 장사지낼 곳이 20개 소까지 많게 된다면 내가 이로부터 근심을 잊겠다'고 했다. 그리하여 그곳의 가장 서쪽 한 가닥 산봉우리의 이름은 '망우리'(忘憂里)가 됐다."
◆공동묘지에서 공원으로 재탄생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장례문화는 땅에 시신을 묻는 매장문화였다.
일제강점기 때 조선총독부는 지정된 장소 외에 묘지를 두는 일을 금지했고, 경성부는 1920년대 전후 서울의 동서남북(신당리·아현리·이태원·수철리)에 부립공동묘지를 설치했다. 묘지 터가 부족해지자 경성부는 망우리 일대의 임야 75만평을 사들여 그중 52만평에 공동묘지를 만들기로 결정했다.
1933년 조성된 망우리 공동묘지는 일제강점기와 해방, 한국전쟁, 산업화 시기를 거치면서 40년간 4만7000여기의 묘지를 수용하기에 이른다. 1973년 더 이상 묘지로 쓸 공간이 없어지면서 이곳은 공동묘지로서의 임무를 마치게 된다.
중랑구에 의하면, 1977년 '망우리 공동묘지'에서 '망우묘지공원'으로 명칭이 변경됐다. 1990년대 망우묘지공원에 묻힌 위인들의 얼을 기리자는 움직임이 일어났고, 1997년부터 독립운동가와 문학인 등의 무덤 주변에 추모비가 세워졌다. 1998년에는 '망우묘지공원'에서 '망우리공원'으로 이름이 한 번 더 바뀌었다.
중랑구는 "민둥산에 울창한 숲이 자라나는 것처럼 망우리공원에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졌다"며 "공원은 조상들의 묘를 찾던 묘지에서 시민들이 운동과 산책, 여가를 즐기는 힐링공간으로 거듭났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2013년 망우리공원을 미래유산으로 선정했고, 2016년 망우리 인문학길 '사잇길' 코스가 생기면서 근현대인문학의 보고가 됐다고 중랑구 측은 덧붙였다.
지난 8일 공동묘지에서 시민 쉼터로 되살아난 '망우역사문화공원'을 방문했다. 서울 지하철 7호선 상봉역 5번 출구 앞에서 201번 버스를 타고 6개 정류장을 이동해 '망우리역사문화공원' 정거장에서 내려 남쪽으로 685m(도보 13분 소요)를 걸었다.
망우역사문화공원 입구에서는 음악 영화의 일인자로 칭송받는 노필 감독과 대한민국임시정부 내무부서기를 지낸 독립운동가 문명훤 선생 등 민족 발전에 기여한 이들의 사진이 두줄로 나란히 전시된 '인물광장'을 볼 수 있었다.
구에 따르면 인문학길 '사잇길'은 그 어느 때보다도 격동적인 근현대사를 살다간 유명인사 50여명과 서민의 이야기를 비명을 통해 체험할 수 있는 코스로 조성됐다.
인물광장 팻말에는 "이곳은 선진 대한민국의 뿌리를 내리고 꽃씨를 뿌린 근현대 각 분야의 선구자와 서민이 한데 모인 성지"라며 "경건한 마음으로 어제와 오늘의 사이, 삶과 죽음의 사이를 걸어가며 깨달음을 얻어 즐거이 '망우'(忘憂)하길 바란다"고 적혀 있다.
◆조선과 대한민국을 주름잡은 인물들 영면한 곳
광장을 지나 망우역사문화공원 안으로 들어섰다. 햇볕이 잘 드는 곳에는 어김없이 둥근 무덤이 봉긋 솟아 있었다.
8일 오후 공원에서 만난 대학생 박모 씨는 "날이 너무 좋아서 놀러왔다"며 "공동묘지라고 해서 으스스한 분위기를 풍길 줄 알았는데 전혀 상반된 이미지라 놀랐다"고 털어놨다. 그는 "'양지바르다'란 말의 뜻을 오늘 여기 와서 정확히 알게 됐다"면서 "무덤 근처에 서서 한강을 바라보면 '경치 좋다!'라는 감탄사가 절로 나온다"고 했다.
이날 망우역사문화공원에는 벌초가 잘 된 무덤부터 잡초가 무성하게 자란 묘지, 새 흙으로 봉토된 무덤 등 다양한 형태의 묘지가 자리해 있었다.
아스팔트로 포장된 산책길을 따라 걷다가 소파 방정환 선생의 묘소를 발견했다. 어린이 운동에 온 생애를 바친 소파의 유골은 홍제동 화장터에 있었는데 1936년 후배 최신복 등이 모금 운동을 벌여 이곳으로 이장했다. 무덤은 쑥돌로 만들어졌고, 비석의 글씨는 위창 오세창이 썼다.
비석에는 소파 방정환 선생이 생전에 마지막으로 남긴 말이 새겨졌다. 그는 "여보게, 밖에 검정말이 끄는 검정 마차가 와서 검정 옷을 입은 마부가 기다리니 어서 가방을 내다주게"라는 말을 끝으로, 마치 동화 속의 한 장면처럼 하늘나라로 떠나갔다고 한다.
소파 방정환 선생을 포함해 망우역사문화공원에는 ▲1950년대의 대표적 시인 목마 박인환 ▲한국 민속학의 원조 석남 송석하 ▲다물단의 애국지사 춘파 서동일 ▲'백치 아다다'의 작가 계용묵 ▲헤이그밀사 사건에 관여한 애국지사 계산 김승민 등이 영면해 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