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보험

금리인상 본격화에…생보사, 저축성 보험 가입 '뚝'

예·적금 금리도 오르며 매력도↓
IFRS17 도입에 따른 영향도 높아

/유토이미지

생명보험사들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과거 생보사들의 주력 상품이던 저축성 보험의 고객 이탈이 가속화되면서다. 최근 한국은행이 본격적으로 금리를 올리며 예·적금 금리 등도 높아지며 저축성 보험의 매력이 떨어진 탓이다.

 

10일 생보협회에 따르면 생보사들의 5월 말 기준 저축성 보험 보유계약액은 432조12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448조3160억원)보다 16조3033억원(3.7%) 줄어든 수준이다.

 

생보사들의 저축성 보험 보유계약액은 올 1월부터 5월까지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는 모습이다. ▲1월 437조6730억원 ▲2월 436조1456억원▲3월 434조3817억원 ▲4월 433조3221억원까지 떨어지면서다. 새로운 계약은 늘었지만 실효해약계약이 더 많이 증가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금리인상기에 예·적금 금리도 높아지며 저축성보험 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줄어든 것이다. 한은은 지난 2021년 8월부터 본격적인 금리인상을 이어왔다. 같은 해 11월에는 금리를 1%까지 올리며 제로금리 시대가 막을 내렸다. 이후 한은은 올해 1월, 4월, 5월 세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상한 후 7월에는 사상 처음으로 0.5%p 인상을 단행했다.

 

자연히 은행의 예·적금 금리도 상승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도 기준금리 인상 기조에 맞춰 예금 금리를 상향 조정하면서 3%대를 기록하고 있다. 저축은행의 경우 경쟁력 확보를 위해 3%대를 훌쩍 넘긴 4%대의 정기예금도 선보였다.

 

여기에 내년부터 도입되는 새 국제회계제도(IFRS17) 등도 저축성 보험 판매 부진에 영향을 끼쳤다. IFRS17가 도입되면 보험사의 수익인식 기준이 바뀌게 된다. 때문에 기존 저축성 보험은 부채로 잡혀 생보사들 보험수익이 줄어든다.

 

이에 따라 생보사들은 보장성 보험을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새로 짜며 의도적으로 저축성 보험 판매를 줄여왔다.

 

실제 보험연구원도 올해 일반 저축성 보험의 부진을 예상한 바 있다. 최근 보험연구원은 '2022년 수입보험료 수정 전망' 보고서를 통해 고인플레이션(물가 상승)과 금리 급등 등에 따라 저축·투자형 상품을 취급하는 생명보험의 성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김세중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시중금리 상승으로 인해 저축보험의 상대적인 금리 경쟁력은 약화되고 가계의 부채부담 확대로 저축여력 또한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도 "금리인상기에 저축성 보험의 메리트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라며 "또 IFRS17가 도입되는 상황에서 생보사들도 이자 부담이 높은 저축성 보험보다는 건강보험 등의 보장성 보험 판매 전략을 전반적으로 펼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