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한국은행의 판단과 위상

image

"금융위기 이후 중앙은행의 위상이 중요해지고 높아졌다."

 

지난 2011년 박재완 전 기획재정부 장관은 상견례를 겸한 조찬 간담회에서 한국은행에 대해 이 같이 평가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한국은행은 미국과 300억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를 체결하는 등 국내 금융·외환시장 및 실물경제에 대비해 왔다. 중앙은행간 비상채널을 구축해 금융안정에 나서야 한다는 판단이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한은의 선제적인 대응 역시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은 바 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지난해 8월 코로나19 이후 아시아 주요 국가 중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올리면서다.

 

한은은 지난해 5월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인 연 0.5%로 낮춘 뒤 9차례 연속 동결해 왔다. 당시 기준금리 인상은 2018년 11월 이후 2년 9개월 만이었다. 가계부채가 급증하고, 실물 경기와 금융자산 가격 간 괴리가 커지고 있는 등 '금융불균형'을 막기 위해서였다.

 

시간이 흐른 뒤 금융시장에서는 이를 두고 이 전 총재의 선제 대응이 빛났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당시에는 아직 섣부르다는 일부 비판 여론도 존재했다. 실제 이 전 총재는 2021년 8월 금통위를 두고 가장 힘들었던 통화정책 결정으로 꼽기도 했다.

 

한은의 선제 대응은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 최근 한은 금통위가 사상 처음으로 '빅스텝(기준금리를 한 번에 0.5%p 인상)'을 밟으면서다.

 

지난 7월 한은 금통위는 1999년 기준금리가 도입된 이후 처음으로 빅스텝을 단행했다. 치솟는 물가와 미국의 긴축(금리 인상)에 대비해야 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역시 시장에서는 '매도 먼저 맞는 것이 낫다'라는 반응이 지배적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지난달 25일 금통위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물가가 5~6%대의 높은 상승 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돼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기대심리 확산 억제와 고물가 고착 방지를 위해선 지속적인 금리인상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자칫 금리인상 시기를 놓치게 되면 더 큰 기회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것.

 

지난 경제위기 당시 한은은 꽤 정확한 판단을 내려왔다. 이번 경제위기에서도 올바른 판단을 기대해 본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