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기동향

우울한 신용채권시장시장…2009년 9월 이후 최고

BOK이슈노트

신용스프레드 추이, 금년중 신용스프레드 변동폭. /한국은행

신용채권시장의 전망이 밝지 않다. 향후 주요국의 통화긴축 강화 등으로 금융시장의 높은 불확실성이 지속될 전망이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BOK이슈노트 '최근 신용채권시장 상황 평가: 신용스프레드 확대요인을 중심으로'에 따르면 올해 들어 국내외 통화긴축 강화 등의 영향으로 장기금리가 빠르게 상승하는 가운데 신용스프레드가 큰 폭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주요국의 경기침체 우려가 부각된 6월 중순 이후 빠르게 늘었다.

 

최근 신용스프레드 수준(10월 14일 현재 회사채 AA- 114베이시스포인트(bp·1bp=0.01%포인트)은 과거 장기평균(2012~2021년중 43bp) 및 코로나19 위기시 고점(78bp)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며 2009년 9월 이후 최고치다.

 

신용등급별 예상부도확률(EDF), 비유동성지표(Amihud) 추이. /한국은행

신용스프레드 확대요인을 살펴보면 금리상승 국면에서 신용도와 유동성이 낮은 신용채권의 투자수요가 크게 위축된 데다 한전채·은행채 등 초우량물 발행 확대와 이에 따른 신용채권 간 구축효과 등 공급요인도 가세했기 때문이다.

 

금융시장 불확실성 고조로 신용도와 유동성이 낮은 신용채권에 대한 위험프리미엄도 크게 증대됐다. 금리상승에 따른 평가손실 우려, 투자재원 감소에 제도적 요인이 가세하면서 주요 신용채권 투자기관들의 투자여력도 약화된 상황이다.

 

이 가운데 올해 들어 전체 신용채권 발행물량이 과거보다 크게 확대되며 수급부담으로 작용했다. 신용채권 발행이 특수채·은행채 등 초우량물에 집중되면서 여타 신용채권 수요를 위축시키는 구축효과가 발생(flight to quality)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올해 1~9월중 신용스프레드 확대를 요인별로 보면 신용채권시장의 유동성위험 요인의 기여도가 가장 컸으며 한전채·은행채 등 초우량물 공급확대에 따른 영향도 상당히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앞으로도 주요국의 통화긴축 강화 등으로 금융시장의 높은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단기간 내에 신용채권시장의 위축이 크게 개선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최근 영국 금융시장의 불안 사례처럼 국제금융시장 불안이 수시로 재현될 가능성이 있는 가운데 여전채·은행채 대규모 만기도래, 안심전환대출 MBS 및 한전채 대규모 발행이 이어지는 등 수급 부담도 상존하는 상황이다.

 

한민 한은 금융시장국 채권시장팀 차장은 "신용채권시장 불안이 크게 확산되지 않도록 시장 상황을 면밀히 점검해 나가는 한편 신용채권시장 안정을 위한 정책 대응방안을 차질 없이 준비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