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국제>국제일반

[차이나 뉴스&리포트]중국도 인구 절벽…Z세대 女 "결혼·출산은 곧 스트레스"

중국 경제가 인구 절벽이라는 장애물에 발목을 잡혔다. 지난 40년 동안 중국에 경제성장의 호황을 가져다 준 가장 큰 기반은 바로 세계 최대 인구 대국이라는 점이었다.

 

팬데믹 기간 동안 출산율이 낮아진 것은 전 세계 공통적인 현상이지만 중국은 유독 하락폭이 컸다. 수 십 년간 강력했던 산아제한 정책의 여파에 젊은 세대들의 바뀐 인식이 맞물린 탓이다.

 

9일 외신 등에 따르면 2020년 중국의 출생률(인구 1000명 당 신생아 수)은 8.52명으로 1978년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후 4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중국의 출생률은 지난 2017년 12.43명에서 2018년 10.94명, 2019년 10.48명으로 매년 감소했다. 10명 아래로 내려간 것은 처음이다.

 

허난성의 경우 지난해 신생아 수가 92만명으로 2019년 대비 23.3%나 급감했다. 허난성은 중국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행정 구역이다.

 

출생률에서 사망률을 뺀 인구 자연증가율은 1000명당 1.45명이다. 이 역시 1978년 이후 최저치다.

 

국가 인구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출산율은 2020년 여성 1인당 1.3명으로 떨어졌다. 2.1명 미만은 일반적으로 인구 감소를 뜻한다.

 

중국은 인구 과잉과 빈곤 완화를 위해 지난 1978년부터 '한 가정, 한 자녀 정책'을 엄격하게 시행해 왔다. 출산율이 가파르게 내려가자 2016년 '두 자녀 정책'을 전면 시행했지만 별 다른 효과를 보지 못했고, 지난해에는 자녀 수를 3명까지 허용하며 산아제한 정책을 사실상 폐지했다.

 

많은 지방 성과 시가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자체 인센티브를 내놨다. 둘째나 셋째 자녀를 위해 더 많은 출산휴가나 재정적 지원을 약속했지만 비판만 받고 말았다. 둘째, 셋째가 문제가 아니라 첫째, 즉 자녀 자체를 낳지 않는 상황이다.

 

특히 중국에서 1995년에서 2010년 사이에 태어난 Z세대 여성들의 경우 출산은 물론 결혼 자체를 우선 순위로 생각하지 않는다.

 

광저우의 카페에서 일하는 한 25세 여성은 "나와 사촌 언니 두 명은 모두 집안에서 하나뿐인 자녀이지만 원하지 않으면 결혼하지 말라고 하며, 아이는 필수가 아니라고들 한다"며 "결혼과 출산은 젊은이들에게 스트레스와 거의 동의어"라고 전했다.

 

Z세대 여성의 경우 결혼 의사도 남성보다 현저히 낮았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공산주의청년동맹이 지난해 10월에 실시한 조사 결과, 18∼26세의 미혼 도시 거주자 여성 가운데 43.9%가 결혼할 의사가 없거나 결혼할 것인지 확신이 없다고 답했다. 미혼 남성 대비 19.3%포인트나 높은 수치다.

 

중국의 유명작가이자 많은 SNS 여성 팔로워를 가진 선자커는 "중국 도시 가정은 수 십 년 동안 부를 축적해 왔고, 한 자녀 정책으로 인해 그 부의 상당 부분을 젊은 도시 여성이 가지고 있다"며 "교육을 잘 받고 재정적으로 여유있는 젊은 여성의 수가 동년배 남성의 수와 같거나 심지어 더 많다는 점은 사회, 특히 인구 추세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젊은 여성의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중국 중앙정부의 2021년 통계연감 에 따르면 20~34세 성인 중 학사 이상 학위 소지자의 52.7%가 여성이다.

 

한편 중국은 작년 국내 총생산(GDP) 수치를 발표하는 오는 17일에 2021년 연간 인구 데이터도 발표할 예정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