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국제>국제일반

[차이나 뉴스&리포트]中 "문제는 실업률이야"…경기↓, 사회불안↑

/국제금융센터

중국에서 실업 공포가 커지고 있다. 중국의 최대 인터넷 기업인 텐센트가 대규모 정리해고에 착수한 가운데 알리바바 등 빅테크 기업은 물론 산업을 불문하고 대량 해고가 현실화되면서다.

 

특히 대도시들의 봉쇄 여파가 서비스업뿐 아니라 제조업으로도 전이되면서 실업문제가 침체된 경기를 더 끌어내리고, 사회불안도 자극할 가능성이 커졌다.

 

29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지난달 실업률은 6.1%다. 여섯달째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초기인 2년 전 수준(6.2%)에 근접했다.

 

특히 16~24세의 젊은층 실업률은 전체 실업률의 3배인 18.2%에 달했다.

 

실업 공포가 커진 것은 작년부터 이어진 정부 규제 여파에 봉쇄 충격이 더해진 탓이다. 정부 규제의 직격탄을 맞은 교육의 경우 고용상황을 가늠할 수 있는 구인배율이 전년 대비 10% 수준으로 급락했다.

 

국제금융센터는 "정부 규제가 서비스업에 집중되면서 부동산과 IT, 교육 등이 타격을 입었고, 코로나19가 경제 중심지인 상하이·베이징 등으로 확산되면서 기업심리가 크게 위축됐다"며 "봉쇄 조치로 근로자의 도시 간 이동 취업도 크게 제약됐다"고 지적했다.

 

주요 채용 사이트가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업들 가운데 절반 이상의 인력의 10~50%를 해고했다.

 

실업률은 앞으로 더 악화될 수 밖에 없다.

 

3월 말부터 본격화된 봉쇄가 서비스업은 물론 생산차질 등 제조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상하이의 경우 확진자 수가 줄고 있지만 여전히 주요 기업들의 20% 가량이 생산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함께 전체 노동자 가운데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는 이주 노동자들은 해고가 용이한 계약직이다. 경기부진이 가속화되면 추가적으로 대량 해고의 불씨로 작용할 수도 있다.

 

정부가 내놓은 경기부양책도 인프라 사업 등에 집중되면서 고용효과를 기대하긴 어렵다.

 

국제금융센터는 "고용으로 인해 경기부진이 심화될 뿐 아니라 핵심 정책목표인 소비 및 서비스업으로의 성장방식 전환을 크게 제약할 것"이라며 "실질 실업률이 과소집계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그동안 누적된 사회 불평등 관련 불만이 배가될 소지도 있다"고 분석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