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가 인플레이션 쇼크에 휘청이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식품 및 에너지 가격이 치솟은 것은 전 세계 공통이고, 중국발 공급망 악화는 인플레이션을 부추겼는데 정작 중국은 물가 걱정에서 자유로운 모양새다.
19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중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대비 2.1% 상승해 4월과 같은 수준으로 유지됐다.
반면 같은 기간 미국의 CPI는 8.6%나 급등하면서 41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유로존 역시 역대 가장 높은 8.1%로 집계됐다. 영국의 경우 이미 지난 4월 9%까지 치솟았다.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 등을 제외한 중국의 근원 CPI는 0.9% 상승에 그쳤다. 올 들어 다섯달 동안 소비자물가지수는 1.5%로 정부의 연간 목표치인 3%를 크게 밑돈다.
전문가들은 펜데믹 기간 동안 중국의 통화완화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했던 것을 이유로 꼽았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양적 완화에 나서면서 현재 8조9000억 달러에 달하는 자산을 보유 중이다. 2년 만에 2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그간 경기부양 필요성이 크지 않았던 중국은 과도한 통화완화를 자제해 왔다.
이와 함께 중국의 CPI를 구성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비중도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세계 에너지 가격이나 통화 정책의 영향이 큰 교통과 주거비용의 비중이 크지만 중국은 의류와 식품 등에 가중치를 더 둔다.
중국 당국은 지난해 조정한 CPI 산출 바스켓의 가중치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전문가들 추정에 따르면 중국의 식품 가중치는 18.4%로 미국 7.8%를 크게 웃돈다. 의류 관련 가중치 역시 중국이 6.2%로 미국 2.8%보다 높다.
반면 임대료 가중치는 중국이 16.2%로 미국 32% 대비 절반 수준에 그치며, 운송·교통 역시 중국이 10.1%로 미국 15.1%보다 낮다.
경제 구조도 미국은 소비재 수입에 의존도가 크지만 중국은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만큼 글로벌 상품 가격의 인상을 감당할 여지가 더 많다. 특히 중국은 펜데믹 이후 증가하는 생산 비용을 상당 부분 해외 소비자에게 전가했다.
다만 중국도 일반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물가는 공식 발표 수치보다는 높다.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면서 많은 이들이 전기자동차로 바꾸거나 대중교통을 고려하기 시작했고, 주재료로 쓰이는 계란과 식용유 등의 가격도 상승폭이 확대됐다.
중국국제금융공사(CICC)는 "국내 돼지고기 가격의 상승과 경기 회복이 소비자 물가를 끌어올릴 수 있지만 전체적인 소비자물가 수준은 여전히 안정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