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국제>국제일반

[차이나 뉴스&리포트]中 나홀로 돈풀기 '스톱'…글로벌 동시다발 긴축에 딜레마

중국 인민은행 전경. /블룸버그

중국이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를 동결했다.

 

침체된 경기만 놓고 보면 추가 금리 인하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지만 대외 여건이 녹록치 않다. 이번주에 미국을 비롯해 글로벌 주요국들이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 혹은 적어도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에 나설 것으로 보이면서다. 이미 심리적 저항선 수준까지 가치가 떨어진 위안화도 금리 인하를 망설이게 하는 요인이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20일 LPR을 1년 만기 3.65%, 5년 만기 4.3%로 기존과 같이 유지한다고 밝혔다.

 

인민은행은 매달 20일 전후에 18개 시중은행이 보고한 금리를 취합해 LPR을 고시한다. 동향을 취합한다고 하지만 인민은행이 정책 지도 등을 통해 금리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한다. 앞서 지난 15일 금융기관에 공급하는 정책자금인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를 2.75%로 동결하면서 LPR도 동결될 것으로 전망됐다. LPR은 MLF 금리에 은행 조달비용, 위험 프리미엄 등을 종합해 산출하기 때문에 MLF 금리는 보통 LPF의 예고편으로 인식된다.

 

앞서 인민은행은 1년물 LPR을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과 8월에, 5년물은 1, 5, 8월에 각각 인하한 바 있다.

 

통화 완화에도 효과는 미미하다. 풀린 유동성이 투자나 소비로 이어지지 않고 기업과 가계 쌓아두기만 하는 탓이다. 지난달 경제지표가 일부 개선됐지만 정부의 경기 부양책에 따른 일시적인 효과로 해석되고 있다.

 

미국의 급격한 금리인상 등 대외환경도 중국 정부가 통화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없도록 했다.

 

이번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비롯해 10개국 안팎이 기준금리를 조정할 지 결정한다. 특히 연준은 다시 한 번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올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중국 10년물 국채금리가 미국의 같은 채권 금리보다 낮은 역전현상도 발생했다.

 

위안화 환율은 이미 역내외 할 것 없이 달러당 7위안을 돌파했다. 달러당 7위안을 넘어선 것은 미·중 무역 분쟁이 최고조에 달했던 지난 2020년 7월 이후 처음이다.

 

크리스토퍼왕 외환전략가는 "중국이 할 수 있는 최선의 정책 대응은 위안화 평가절하 속도를 늦추는 것이지만 경기 침체와 함께 강달러 추세가 압도하는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되돌리기 힘들 것"이라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