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국제>국제일반

[차이나 뉴스&리포트]중국 반도체 '잃어버린 20년' 오나

네덜란드 ASML는 매출액 기준으로 세계 반도체 생산 장비 업체 가운데 2위다. 일본과 네덜란드가 미국의 대(對)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에 합류하면서 중국은 네덜란드에 자유 무역을 옹호해 달라고 호소했다. /AP·뉴시스

미국의 수출 규제 공세가 계속될 경우 중국의 반도체 산업과 인공지능(AI) 분야가 최소 20년은 뒤쳐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일본과 네덜란드가 미국의 대(對)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에 합류하면서 지난 2년간 중국이 의존했던 공급망이 공식적으로는 완전히 막혀버렸다.

 

7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반도체 업계 관계자들은 미국의 전방위적인 제재 강화로 중국의 반도체와 AI 개발이 수십 년은 늦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대만 반도체 산업 컨설턴트이자 진홍기체 ESG 부사장인 레슬리 우는 "미국과 네덜란드, 일본 간의 합의로 지난 2년간 중국 반도체 업계 전체가 생존을 위해 의존해온 비(非)미국의 공급 통로가 공식적으로 닫혔다"고 말했다.

 

미국은 지난해 10월 자국 기업이 첨단 반도체 생산 장비와 인공지능(AI) 등에 쓰이는 고성능 반도체를 중국에 수출하지 못하도록 했다. 당시 미국은 첨단 반도체와 관련 기술이 대량살상무기나 군사력 증강, 인권유린에 쓰인다고 주장했다.

 

미국은 올해 들어서는 일본, 네덜란드 정상들과 만나는 자리에서 중국에 대한 반도체 제재에 동참하라고 촉구했으며, 지난달 말에는 3개국 실무진들이 모여 반도체 장비 수출 제한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치의 주요 대상은 중국의 AI 부문이다. AI 개발을 위해서는 고성능 컴퓨터 칩이 필수다.

 

컴퓨터 비전이나 자연어 처리, 대화형 AI 등 인공지능 모델과 알고리즘 훈련을 위해 사용되는 엔비디아 A100과 H100 칩은 중국으로의 수출이 금지됐다. 대만의 TSMC 역시 작년 10월 미국의 제재 이후로는 해당 칩들의 생산을 중단했다.

 

중국의 한 AI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설립자는 "이미 칩 구매 비용이 5~6배 뛰었지만 이번 제재로 높은 가격에도 구하기 힘들게 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제재 위반에 대한 우려로 대기업들은 제품을 재설계하거나 심지어 철수할 수 있으며, 중소기업은 심각한 어려움에 직면해 파산 등을 겪을 수 있다"고 전했다.

 

중국은 지난 2019년 미국과의 기술 전쟁이 시작된 이후 다른 나라로 눈을 돌렸다. 중국 바이어들이 네덜란드 반도체 생산 장비업체인 ASML로부터 구매한 규모는 2021년에만 21억7000만 달러에 달한다.

 

제재가 강화되면서 향후 중국이 반도체 산업을 끌어가기 위해서는 자급자족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우 부사장은 "해외 기술이 없다면 중국 반도체 산업이 잃어버린 기반을 회복하고 기술 격차를 좁히는 데 적어도 20년이 걸릴 것이며, 약 3세대 정도 뒤쳐질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최소 기간이 20년인 것인 실리콘 기반 반도체 칩이 15~20여년 간은 더 발전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이후에는 비실리콘 반도체나 양자컴퓨팅 같은 신기술로 대체될 수도 있다.

 

중국 정부는 반도체 자급과 미국에 대항하기 위해 1조 위안(미화 약 1430억 달러) 규모의 지원책을 마련 중이다.

 

우 부사장은 "후발주자가 수년간 막대한 투자를 해도 따라잡기는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 반도체 산업"이라며 "반도체 자급 노력은 매우 비효율적"이라고 지적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