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이 속한 조직에서 '디지털 전환'을 이뤘다고 생각하시나요?"
경찰대학을 나와 강력계 반장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연구조교수 등을 거친 오경석 영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찰행정학과 조교수가 '2023 뉴테크놀로지 포럼' 청중들에게 던진 질문이다. 오 교수는 실무자의 시선으로 볼 때 "아무리 좋은 플랫폼과 정보 시스템을 개발해도 '조직'에서 실제로 이를 받아들일 준비가 안 돼 있거나, 데이터가 준비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인공지능(AI)과 같은 새로운 기술을 접목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고 꼬집었다.
오 교수는 전자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는 정부 사례를 들면서 정부가 어떻게 디지털트렌스포메이션을 해왔고, 그 과정에서 어떤 문제를 겪고 해결하고 있는지 설명하는 것으로 말문을 열었다.
우리나라는 ▲전자정부 ▲정부 3.0을 거쳐 현재 윤석열 정부의 ▲디지털플랫폼정부까지 왔다. '디지털플랫폼정부'는 최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연계해 분석한 디지털플랫폼을 기반으로 사회문제 해결과 가치 창출을 목표로 한다는 골자로 진행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디지털 전환 순위는 UN기준으로는 3등, OECD에서는 1등을 차지할 정도로 고도화한 상태다. 하지만 오 교수는 "인공지능이나 SI사업을 진행하려고 했을 때 부족한 건 사실"이라며 "그럼에도 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가가 디지털 전환을 할 수밖에 없는 '변화 동인'이 있다고 분석했다. 오 교수는 "디지털 전환을 하고 싶어서 하는 게 아니라 '해야만 하는 시대'에 이르게 된 것"이라고 갈음했다.이는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시민들이 새로운 기술에 점점 적응하면서 정부에게도 디지털 서비스를 기대하고 있다는 점 ▲빠르게 기술발전을 이뤄가는 산업계와 발맞춰 가기 위해서 ▲업무 효율성 및 이미지 개선 ▲행정 투명성의 요구 상승과 정치적 압박 등이다.
오 교수는 디지털트렌스포메이션을 더디게 만드는 요인도 3가지로 축약했다. ▲큰 비용이 드는 '기술적 요인' ▲범률 규제 등의 '환경적 요인' ▲시민의 낮은 '신뢰도' 등을 꼽았다.
오 교수는 "결국 조직원들이 저항하지 않고 디지털트렌스포메이션 잘 받아들일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저항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하는 전략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그는 "디지털 전략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최고 관리자의 지원'과 '리더십'"이라며 리더가 조직원들에게 강력한 동기부여와 기본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디지털 변화에 적응하고 혁신에 대한 수용의지를 잡아주는데 리더십이 작용한 것이다.
이어 "디지털 전환으로 막연한 효과를 기대하지 말고 도입효과와 효율성에 대해 정확하게 예측한 뒤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끝으로 오 교수는 디지털트렌스포메이션을 위해서는 '지식'과 '문화'과 준비되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문화'가 단순히 지식의 숙련도를 높이는 게 아니라 인공지능을 윤리적으로 어떻게 활용할지 조직 차원에서 사고하고 협업하는 '총체적 환경'"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