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윤 중앙대 컴퓨터공학과 연구교수가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DX)의 시대에 당면한 현재, 기업들은 DX를 할 것인가 고민할 때가 아니라 '어떻게?'라는 질문을 할 때라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22일 서울 을지로 페럼홀에서 열린 '2023 뉴테크놀로지 포럼 - DX, 혁신의 트리거'에서 기업이 현재 요구 받는 DX의 필요성과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전략을 강연했다.
지난해 11월 오픈AI(openAI)사가 공개한 쳇GPT(ChatGPT) 이후 전세계적으로 생성형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이 쏟아진 데 이어졌다. 산업계에서도 생성형 AI를 활용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고 기술 혁신을 이루고자 하는 시도가 이어져 아날로그적 기업문화를 유지하려던 곳까지 전환을 시작했다.
김 교수는 사회 전체가 디지털 대전환을 맞이하며 현재 'DX를 해야하는가?'가 아닌 '어떤 방식으로 전환할 것인가?' 고민하는 분기점에 섰다고 진단했다. 그는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에 모든 것이 재정의 될 것이라고 설명하며 제조업을 예로 들어 현대사회 기업들이 세가지 축에서 다양한 경험을 했다고 짚었다. 세 가지 축은 ▲가격과 기본적 품질로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없는 '비가격 가치 경쟁력' 시대 도래 ▲자국 산업 육성을 위한 원재료 수출 등을 제한하는 '역(易)글로벌화' 현상 ▲ESG 경영의 중요성과 소비자의 인식 변화 등이다.
김 교수는 "최근 선진국들은 자국으로 생산기지를 유턴하는 리쇼어링(Reshoring)을 진행하고 있는데 미국의 경우 오바마 정부 이후 약 3300개의 기업이 본토로 돌아갔다"며 "값싼 노동력을 제공하는 신흥국 기지의 이점을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가 상쇄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선진국의 생산기지 리쇼어링은 결국 신흥 제조국가의 기술력 확보를 힘들게 하고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공급망 분열을 일으킨다"며 "이런 상황에서 중국이나 인도 등은 자국 기술력 확보 과정에서 선진국의 원조를 차단함으로써 자체 생태계를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여기에 ESG 경영이 대두 되며 금융기관에 의해 곧 투자자들에게 점수화 돼 제공되는 현 상황에 ESG 경영과 기술이 곧 시장 진입의 잣대가 되며 신흥 제조기업에 새로운 벽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설명했다.
김 교수는 디지털 대전환의 방향성에 대해 ▲조직 구성원과 조직의 데이터 AI 역량 성장 ▲공급망·원격근무·정보보호 등 리스크 극복 ▲부가가치 경계 확장 ▲디지털 친화적 기업문화 등 네 가지 전략을 제안했다.
김 교수는 특히 첫 번째 전략에 대해 강조했는데, 그는 "여기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바로 첫 번째, 조직과 구성원의 데이터 AI 역량 성장에 있다"며 "도입된 AI와 데이터 솔루션에 실무자의 니즈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실무자가 정작 사용하지 않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는데 여기에는 어떤 데이터를 수집했는가, 데이터의 건전성은 어떠한가 등이 관건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장에서 DX를 조언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가장 큰 고충으로는 '기업 문화'를 꼽았다. 김 교수는 "DX를 실패한 기업이 왜 실패했는가 살펴보면 기업 조직이 DX를 받아들일 문화가 안 갖춰진 경우가 태반이다"라며 "디지털 데이터로 소통하는 문화가 갖춰지면 실질적으로 기업에 도움 되는 보고가 이루어지고 조직의 투명성과 정확성, 민첩성을 올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