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경영

'고래 싸움에 새우등'…'甲'의 가격 인하 압박, 레미콘·시멘트 어쩌나

수도권·부산권 레미콘값 1~2%대 인하…레미콘업계 "내릴 상황 아냐"

 

국토부 '배치플랜트' 설치 완화에 위기 ↑…대정부 대응 수위 높일 듯

 

시멘트, 1~2월 내수 445만t…전년 동기比 24.8% ↓, 가동률 64.5% 그쳐

 

시멘트 재고 쌓이고, 공장 라인 35기중 8개 중단, 4월중 2개 정지 예정

 

레미콘·시멘트 업계가 전방 산업인 주택건설경기 침체, 가격 인하 압박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강원도에 있는 한 시멘트공장 전경.

정부와 건설사의 가격 인하 압박으로 가뜩이나 경기 침체에 고전하는 레미콘·시멘트업체들이 애꿎은 피해를 입고 있다. 건설사는 시멘트, 레미콘의 최종 소비자이자 사실상 '갑'이다. 레미콘·시멘트업계는 건설사들이 불경기에 분양가 인하는 커녕 분양원가에서 극히 일부를 차지하는 레미콘, 시멘트 가격만 압박하며 생색내고 있다는 볼멘소리다.

 

*자료 : 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건설사와 레미콘 업계간 줄다리끝에 가장 큰 시장인 수도권과 부산권 레미콘가격이 하락한 가운데 공은 개별 레미콘 회사와 시멘트사로 넘어갔다. 수도권 레미콘 가격을 두고 건설사를 대표하는 대한건축자재직협의회(건자회)와 수도권 레미콘 업체를 대표하는 영우회가 4개월 가량 총 11차례 회의에서 줄다리기를 한 끝에 올해 레미콘 단가를 루베(㎥)당 9만1400원으로 결정했다. 이는 지난해의 9만3700원보다 2.5%(2300원) 내린 가격이다. 당초 건자회는 8만8200원, 영우회는 9만6700원을 제시했다. 부산, 김해, 양산을 아우르는 부산권도 최근 레미콘값을 ㎥당 10만1300원에서 9만9400원으로 1.9%(1900원) 내렸다.

 

건설업계는 착공 물량 감소, 자재값 상승 등을 이유로 '인하'를, 레미콘업계는 전기요금, 인건비, 운반비 등 비용 증가로 '인상'을 각각 요구했다. 인하 가격은 소급해 3월1일부터 적용한다.

 

문제는 힘의 논리에서 건설사에 진 레미콘 업계다. 레미콘은 시멘트사로부터 시멘트를 구입한 후 레미콘을 제조해 건설사에 판다.

 

레미콘 업계 관계자는 "레미콘은 운반비와 인건비가 오르면서 가격 인하 요인이 전혀 없다. 게다가 레미콘 가동률은 1998년 IMF 직후에도 30% 수준이었는데 지난해엔 17.4%까지 떨어질 정도로 상황이 좋지 않다. 올해는 15% 수준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도 (압박 등에)내릴 수 밖에 없었다"고 토로했다.

 

설상가상으로 레미콘업계는 앞서 국토교통부가 공사현장내 레미콘 생산시설인 '배치플랜트' 설치 등을 완화키로 하면서 위기감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특히 이는 1000개가 넘는 중소레미콘 회사들을 보호하기위해 만든 사업조정제도를 무색케하는 것으로 업계는 향후 대정부 대응 수위를 높여간다는 계획이다.

 

*자료 : 한국시멘트협회

레미콘과 가격 협상을 해야하는 시멘트도 상황은 최악이다.

 

한국시멘트협회가 올해 1~2월 시멘트 내수를 집계한 결과 445만톤(t)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592만t)에 비해 24.8%나 감소했다. 1~2월 내수 판매 기준으로 최근 5년간 가장 적다. 2023년 712만t과 비교해도 2년만에 무려 37.5%(267만t)가 줄었다. 시멘트업계 관계자는 "올해 시멘트 내수를 4000만t으로 전망했지만 현재 분위기라면 1991년(4420만t) 당시 처음으로 4000만t대에 진입한 이후 IMF 외환위기 때도 경험해보지 못한 4000만t 아래까지 후퇴하는 분위기"라며 "특히 91년에는 당시 생산능력(4361만t)을 초과한 수치였지만 지금은 생산능력이 6200만t까지 증가했다. 기업경영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가동률(70% 대 이상)보다 낮은 64.5%까지 하락하며 위기감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고 전했다.

 

시멘트 출하 감소와 일부 생산라인 가동 중단에도 지난 2월 말 기준으로 클링커를 포함한 시멘트 재고는 약 340만t에 이른다. 이는 총 저장능력(379만t)의 90%에 육박하는 수치로, 더 이상 쌓아둘 곳이 없다는 의미다.

 

시멘트회사들은 전체 생산라인 35기 가운데 현재 8기의 가동을 멈춘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이달 중 2기를 더 멈출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