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관세폭탄' 발표 임박...韓기업들 위기감 확산

대한상의·중기부 등 긴급설문...美관세정보 파악부터 난항

서울 강남 테헤란로 주변에 줄지어 선 대기업 건물들 /뉴시스

 

 

미국 트럼트 대통령의 관세부과 '선전포고'가 임박한 가운데 국내기업들 사이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국내 제조기업 5곳 가운데 3곳이 미국발 '관세폭탄'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을 수 있다고 느끼고 있다. 또 철강·알루미늄 업체 다수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에 대한 정확한 정보 취합이 어려운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1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국내 제조기업의 46.3%가 미 관세정책의 '간접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또 14.0%는 '직접 영향권'에 들 것으로 예상했다. 총 60.3%가 직·간접적 영향을 우려한 것이다.

 

대한상의는 최근 전국 제조업체 2107개사를 대상으로 한 이 같은 설문 결과를 공개했다. 우려를 표한 기업 중에는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원자재를 납품하는 기업이 24.3%로 가장 많았다. 또 미국에 완제품을 수출하는 기업이 21.7%로 그 뒤를 이었다. 이어 제3국(중국·멕시코·캐나다 제외) 수출 및 내수기업(17.9%), 미국에 부품·원자재 수출기업 (14.2%), 중국에 부품·원자재 수출기업(13.8%) 순으로 나타났다.

 

미국에 직접 수출하는 기업뿐 아니라 미국 관세대상국 이외 국가 및 국내 시장에서 중국 등과 경쟁하는 기업, 중국에 부품과 원자재를 수출하는 기업들도 간접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본 것이다.

 

업종별로는 배터리(84.6%)와 자동차·부품(81.3%) 업종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반도체(69.6%), 의료정밀(69.2%), 전기장비(67.2%), 기계장비(66.3%), 전자·통신(65.4%) 등의 순이다. 규모별로는 대기업(76.7%)은 4분의 3, 중견기업(70.6%)과 중소기업 (58.0%)도 절반을 훌쩍 넘었다.

 

기업들은 '납품물량 감소'(47.2%)를 가장 많이 염려했다. 수출은 직접 하지 않더라도 간접 영향권에 든 기업이 꽤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고율 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24.0%), '미국시장 내 가격경쟁력 하락'(11.4%) 등을 꼽았다. 관세정책 관련 대응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동향 모니터링 중'(45.5%)과 '생산코스트 절감 등 자체 대응책 모색 중'(29.0%)이 많았다. '대응 계획이 없다'는 기업도 20.8%나 됐다. '현지생산이나 시장다각화 등 모색 중'인 기업은 3.9%에 그쳤다.

 

철강과 알루미늄을 수출하는 중소업계의 경우, 관세 25%를 매기겠다는 백악관 방침에 비상이 걸렸다. 이들은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 상세하고 정확한 정보 제공을 꼽았다. 우리 정부의 역할론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지난 31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실시한 '철강·알루미늄 및 파생상품 수출 중소기업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향후 애로사항으로 관세정책에 대한 정확한 파악 어려움(41.8%)을 가장 많이 거론했다. 이어 물류비용 상승(38.2%), 수출국 다변화 비용 발생(36.5%), 관세대상 여부 확인 어려움(28.2%) 등도 꼽았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