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올 것이 왔다, 상호관세] 트럼프발 관세전쟁 확전…개미도 외국인도 '국장 탈출'하나

image

# 개인 투자자 김모 씨(44)는 해외 주식을 더 매입하기 위해 시중은행에서 신용대출을 받았다. 여유 자금을 미국 주식에 70%, 국내에 30%씩 투자해 왔는데 최근 코스피가 탄핵 정국 장기화, 미국발(發) 관세 전쟁 등에 흔들리자 해외 주식의 비중을 높이기 위해서였다. 투자 지역은 중국과 인도시장을 생각하고 있다. 그는 "'국장(국내 증시) 탈출은 지능 순'이라는 말이 실감난다. 이제는 미련 없이 떠날 생각이다"라고 했다

 

동·서학 개미(국내외 개인 투자자)들이 '트럼프 패닉(공포)'에 밤잠을 못 이루고 있다. 트럼프가 확전의 불씨를 쏘아 올린 글로벌 관세 전쟁이 어디까지 확산될지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트럼프 트레이드(트럼프 정책의 수혜 자산에 투자하는 것)'가 '트럼프 버블(거품)'로 바뀔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트럼프발 '관세 전쟁'은 물가 상승 압력을 계속 키워 스태그플레이션(고물가 속 경기 침체) 경고음까지 커지는 상황으로 한국도 그 그늘에 있다"면서 "리스크 관리할 때다"라고 조언한다.

 

◆"관세, 마진 압박과 투자지출 부담"

 

투자자들은 관세전쟁에 따른 한국 기업들의 실적 감소를 우려하고 있다. 전세계 경제가 '트럼프세션(트럼프와 침체를 뜻하는 리세션을 합친 말)'에 빠져들고 있어서다. 세계은행(WB)은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직전 전망치와 같은 2.7%로 유지했다. 다만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편관세가 무역전쟁을 촉발할 경우 전망치가 최대 0.3%포인트가 낮아질 수 있다고 봤다.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 기업들의 영업 성적이 좋을 리 없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코스피 상장사 193개사의 올해 예상 영업이익은 270조9495억원이다. 이는 지난해 12월 말(286조9896억원)보다 5.59% 감소한 것이다. 박윤철 iM증권 연구원은 "관세는 기본적으로 비용을 상승시키는 정책으로 상호관세 부과로 기업의 비용 증가는 불가피하다"면서 "기업들의 향후 계획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한국 경제를 바라보는 시선도 잿빛이다. 정부는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8%로 제시했다. 지난번 예상치보다 0.4%포인트나 낮아졌다. 잠재 성장률 2%에도 미치지 못하는 저성장 예고다. 내수는 얼어붙고 수출은 쪼그라드는 상황에서 헌법재판소의 탄핵 신판 지연이라는 정치 불확실성까지 커지면서 경제 심리가 얼어붙고 있다. 영국 소재 경제 분석기관인 캐피털이코노믹스는 '제로성장'(0.9%)을 전망하고 있다. 김진욱 씨티 이코노미스트는 "정치적 불확실성이 예상치 않게 오래 지속되면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이 다소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경제 정책의 안정성과 효과가 저해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계 투자은행인 노무라는 "2월 경제 지표가 예상보다 부진한 가운데 정치적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경우 국고채 등 금융 시장에서는 한국은행의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가 선반영될 소지가 있다"면서도 "한편으로는 채권 등 한국 자산의 위험 프리미엄이 확대될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말했다.

 

제로(0%)성장 경고에 외국인투자가들은 1분기에만 6조3061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여기에 원화 가치 약세까지 겹치면서 외국인 자금 이탈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연초 1460원대이던 원·달러 환율은 꾸준히 상승해 3일 새벽 2시 1463원에 장을 마쳤다.

 

시장 전문가들은 당분간 증시가 요동칠 것으로 전망한다. 관세 전쟁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고 국내 경제가 반등할 만한 요인도 뚜렷하지 않기 때문이다.

 

박 연구원은 "트럼프 1기에도 대중 관세가 글로벌 경기를 둔화시켰던 만큼 상호관세 이후 글로벌 경기 흐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번 관세전쟁이 각국이 경쟁적으로 관세를 올리다 주가폭락, 실물경제 붕괴로 이어졌던 1930년대 대공황 직전 상황을 연상시킨다는 평가도 제기된다.

 

◆"변동성", 현금 비중 늘리고 안전자산으로

 

미국의 스태그플레이션(고물가 속 경기 침체) 위험이 커지면서 위험자산 회피 현상도 두드러진다.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인상의 영향으로 미국 경기가 침체에 빠질 확률이 기존의 20%에서 35%로 높아졌다고 밝혔다. 골드만삭스는 미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대비 0.2%포인트 낮은 1.0%로 내렸지만 인플레이션 전망치는 3.5%로 0.5%포인트 올려잡았다.

 

정치적, 경제적 불확실성 속에 안전자산인 금의 가치는 치솟고 있다. 2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6월물은 트로이 온스(1ozt=31.10g)당 전날보다 0.6% 상승한 3166.20달러에 마감했다. 전날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금 현물은 이날 장중 전장보다 0.4% 오른 3123.05달러를 가리켰다.

 

반면 안전자산으로 여겨졌던 미 달러화에 대한 믿음은 흔들리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달러 가치는 주요 10개국(G10)의 모든 통화 대비 하락했다. 이 기간 일본 엔화와 유로화 가치는 각각 달러 대비 4.9%, 4.6% 상승했고 스웨덴 크로나 가치는 달러 대비 10.7%나 올랐다. 금융서비스업체 페퍼스톤의 마이클 브라운 선임전략가는 "외환시장에서 안정성의 보루이자 최우선 안전자산으로 여겨졌던 달러화가 이제 완전히 반대 위치에 있다"면서 달러 대체 투자처에 대한 고객들의 문의가 늘고 있다고 전했다.

 

개미들은 어디에 자산을 굴려야 할지 고민이다.

 

김승혁 키움증권 연구원은 "경기 방어주 및 금, 채권 등에 대한 분산으로 리스크 헤지가 필요한 시점"이라며"다만, 반등 시 상승탄력이 클 업종으로의 선별 투자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1분기 실적에도 주목한다.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탄핵 심판 결과와 조기 대선 여부에 따라 정책 관련주들이 등락할 것"이라며 "삼성전자를 필두로 기업 실적 영향력이 재부각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박 연구원도 "중장기적으로 경기, 정치 상황과 무관하게 실적 우상향하는 업종이나 기업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면서 "인공지능(AI), 비만치료제 등 구조적으로 성장하는 산업군에서 기술혁신을 통해 헤게모니를 보유한 우량주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역별로는 인도시장이 꼽힌다. 문남중 대신증권 연구원은 "유럽연합(EU)과 캐나다는 보복 관세를 추진하고 있는 반면, 인도와 베트남은 선제적인 대미 관세 인하 조치로 차별화된 대응 전략을 보여주고 있다"면서 "신흥국 증시 중 인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