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분 듣고, 넷플릭스…'온라인 강의'의 그늘
10분 강의 듣고, 넷플릭스 한 시간 본다…'온라인 강의'의 그늘 "카페에서 혼자 인터넷으로 강의를 듣다 보니 집중이 제대로 잘 안 돼요. 부끄럽지만, 온라인 강의 10분 겨우 듣고 한 시간 넘게 넷플릭스 보고 있어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의 한 프렌차이즈 카페에서 만난 A(23) 씨의 고백이다. 연세대에 재학 중이라고 밝힌 김민주(27) 씨도 "집에서는 집중이 안 된다. 그래서 카페를 찾았는데 사실 카페에서도 마찬가지"라며 "내일은 독서실에 가볼까 고민 중이다"라고 전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4달이 지나고 있지만, 최근 이태원 클럽에서 촉발한 재확산 사태가 벌어지면서 대학가도 초긴장 사태를 맞았다. 13일 대학가에 따르면, 최근 이태원 클럽에서 촉발된 코로나19 확산세로 지난 11일 대면 수업을 예정했던 대학 중 11개교가 대면 수업 일을 연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1학기 전체 온라인 개교를 발표한 대학은 연세대와 이화여대 등 71개교로 증가했다. 코로나19 안정 시까지 온라인 교육 예정인 74개교와 합하면 전체 대학의 75.2%(145교)가 온라인 교육을 1학기 동안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대학 온라인 강의를 듣는 학생들의 상황은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강의실에서 진행되던 대면 수업보다 집중력이 떨어지는 데다, 사상 초유의 전면 온라인 강의를 하는 교수들도 서툴긴 마찬가지다. 13일 오전 기자가 찾은 신촌 지역 한 카페에는 노트북으로 온라인 강의를 듣는 학생들로 붐볐지만, 강의에 집중하는 이들의 모습은 거의 찾아보기 어려웠다. 온라인 강의를 틀어둔 채 휴대전화를 하고 있던 A(23) 씨는 "혼자서 온라인으로 강의를 듣다 보니 딴청을 피우기 일쑤"라며 "부끄럽지만, 온라인 강의 10분 겨우 듣고 넷플릭스를 한 시간 넘게 보고 있다"고 고백했다. 이화여대에 재학 중인 B(26) 씨도 "중간고사가 과제로 대체되면서, 공부를 미루게 된다. 아직 온라인 강의를 하나도 듣지 않았다. 7주 차까지 강의가 밀린 교양 과목도 있다"면서 "주위 친구들도 비슷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온라인 강의 질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도 나온다. 온라인 강의가 시작된 지 두 달이 지났지만, 아직도 일부에서는 학생과 교수 모두 시스템 혼란을 겪고 있다.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창천동에 거주하는 대학생 C(27) 씨는 "지난주 열심히 필기해 가며 온라인 강의를 들었는데 출석 인정이 안 돼 허무했다"라면서 "교수님께 문의했지만, 교수님께서도 원인을 모르겠다고 하시며 우왕좌왕하셨다"라고 토로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대학생들의 등록금 일부 반환 요구는 끊이지 않고 있다. 잡코리아가 최근 대학 재학생 및 휴학생 429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학생 86.2%가 "1학기 등록금 감액·환불 돼야 한다"고 답했다. 코로나 19의 재확산으로 전체 대학 중 75.2%가 1학기 전체를 온라인 강의로 대체한 만큼, 온라인 강의 질 개선과 더불어 학생들의 집중을 모으는 실질적인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